회개 [1]


- 골로새서 3:9-10 -

9. 너희가 서로 거짓말을 하지 말라. 옛 사람과 그 행위를 벗어 버리고, 10. 새 사람을 입었으니, 이는 자기를 창조하신 이의 형상을 따라 지식에까지 새롭게 하심을 입은 자니라.

 

회개는 하나님을 향한 회심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진실한 두려움으로 죄를 고백해야 한다. 참된 회개는 옛 사람의 죽음과 새 사람의 삶에 이르게 한다(요한복음 3:3-7).

새 사람(새롭게 난 사람)은 자기를 창조하신 이의 형상을 따라 지식에까지 새롭게 하심을 입는다(골로새서 3:10).

 

[1] 육의 죽음과 영의 삶

 

1. 믿음을 통해서 얻게 되는 복음의 총화가 회개와 죄사함이다.

 

(1) 회개와 죄사함으로 성도는 새로운 생명과 값없는 화목을 얻는다.

 

죄사함을 얻고 은혜를 받음은 오직 믿음으로(sola fide) 말미암는다. 회개는 믿음을 따를 뿐 아니라 믿음으로부터 나온다.

 

(2) 회개는 죽음과 삶의 두 요소가 있다.

 

우리는 하나님을 향한 회심으로 진실하며 진지한 두려움을 가지고 하나님께 나아가게 된다. 회개는 우리의 육과 옛사람에 있어서의 죽음과 영에 있어서의 삶으로 이루어진다.

자신과 죄에 대해서는 죽고 하나님과 의에 대해서는 사는 것이다. 이러한 회개는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과 분리되지 않는다.

참 회개는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사심에 연합함으로써 옛사람이 죽고 새사람이 사는 회심과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회개에 해당하는 히브리말은 회심 혹은 되돌아옴을, 헬라어는 바뀜을 의미한다.

 

2. 회개는 전체적으로 회심으로 이해되며, 회심은 믿음의 주요 부분을 구성한다. 다음을 회개의 좋은 정의로 삼을 수 있다.

 

(1) 첫째로, 회개는 삶에 있어서의 하나님을 향한 회심이다.

 

하나님을 향한 회심은 외면적인 행위뿐만 아니라, 영혼 자체의 변화를 의미한다. 새로운 믿음을 가지고(18:31), 마음과 뜻을 다하여(6:5; 10:12; 30:2, 6, 10) 하나님을 섬기는 마음의 할례를 받는 것이다(10:16; 30:6; 4:1, 3-4). 이는 두 마음을 품지 아니하고(1:8) 오직 한 분 하나님만을 경외하며 바라는 것이다.

 

(2) 둘째로, 회개는 하나님을 진지하게 두려워하는데서 생긴다.

 

하나님의 공의의 심판대 앞에 설 것을 바라보고 미리 자신의 죄를 숨김없이 다 내어놓는 것이다(4:4; 17:30-31). 오직 세상의 염려가 아니라 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근심을(고후 7:10) 하는 것이다.

 

(3) 셋째로, 회개는 육에 대해서는 죽고, 영에 대해서는 사는 것이다.

 

진정 육체의 소욕을 좇지 않고 성령의 소욕대로 행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회개의 합당한 열매가 맺는 삶을(3:8; 26:20; 6:4) 지향한다(3.3.5). 회개의 열매는 행악을 그치고 선을 행함으로 나타난다(37:3, 8, 27; 1:16-17). 참 회개는 성령의 감화를 받아서 자기를 부인함으로 옛사람을 벗어버리고 심령이 새롭게 되어 새사람을 입는(4:22-24) 것이다.

 

* 회개의 두 요소인 죽음과 삶은 우리가 그리스도와 동참함으로 말미암는다.

우리 옛사람이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히고 그 분과 함께 죽었으므로 그 분과 함께 다시 살게 된다(6:6, 8, 11).

다시 산 자로서 우리는 주의 영으로 새롭게 되므로 새사람을 입는다. 그리하여 지식에까지 새로움을 받는다(고후 3:18; 4:23-23; 3:10).

그러므로 회개는 하나님의 형상을 우리 안에서 회복시키는 중생(신생)으로 해석된다.

      

http://shmission.com/xe/?mid=sh_kr_board9&document_srl=91959.

.........................................................................

 

기독교강요-30주제[항목]-Shalom Mission


  * 제목을 크릭하면 그 내용을 볼 수 있다. *


기독교강요- 30주제[항목]정리 Sh. M.

 문병호 지상강좌 중심으로 >

 1.생명의 지혜 [1]-하나님의 손으로

 1.생명의 지혜 [2]-하나님을 영화롭게 

 16.믿음 [1]- 그리스도를 아는 것

 2.성경 [1]-기록된 하나님의 말씀

 2.성경 [2]-성령께서 말씀하시고 증거

 17.회개 [1]-육의 죽음과 영의 삶

 17.회개 [2]-계속적인 회개의 삶

 3.말씀과 성령 [1]-성경의 자증성

 3.말씀과 성령 [2]-말씀과 성령의 고리

 18.그리스도인의 삶 [1]-삶의 교리

 18.그리스도인의 삶 [2]-십자가는 삶 

 18.그리스도인의 삶 [3]-미래, 현재

 4.삼위일체 하나님 [1]-삼위일체로 계심

 19.이신칭의 [1]-의롭다 칭하여 주심

 19.이신칭의 [2]-믿음으로 의롭다함

 5.피조물 [1]-창조주 하나님의 손

 5.피조물 [2]-창조주 위대함, 부요함  

 20.성화 [1]-성도의 선행

 20.성화 [2]-행위는 공로가 없다

 20.성화 [3]-행위도 의롭다고 받으신다

 6.사람 [1]-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6.사람 [2]-영혼은 하나님 형상의 좌소

 21.그리스도인의 자유 [1]-칭의의 부록

 21.그리스도인의 자유 [2]-세 가지 자유

 7.하나님의 섭리 [2]-하나님의 한 뜻

 7.하나님의 섭리 [1]-은밀한 섭리

 22.기도 [1]-믿음으로 구함

 22.기도 [2]-기도의 직분과 법

 22.기도 [3]-예수 이름으로 기도,주기도

 8.원죄, 자유의지 [1]-죄책, 죄과

 8.원죄, 자유의지 [2]-선을 행할 의지 

 23.하나님의 예정 [1]-선택의 은혜

 23.하나님의 예정 [2]-선택과 유기

 23.하나님의 예정 [3]-예지예정론 반박

 23.하나님의 예정 [4]-은혜와 형벌

 9.율법 [1]-율법의 본질

 9.율법 [2]-용법, 해석의 원리

 24.최후의 부활 [1]-부활의 소망

 24.최후의 부활 [2]-몸의 부활

 24.최후의 부활 [3]-부활의 영원한 복

 10.복음 [1]-신약과 구약의 유사점

 10.복음 [2]-복음과 율법

 25.참 교회 [1]-교회 머리이신 그리스도

 25.참 교회 [2]-어머니로서 교회

 11.중보자 그리스도 [1]-중보 필연성

 11.중보자 그리스도 [2]-사람이 되심

 26.교회 직분 [1]-사람들의 대리 사역

 26.교회 직분 [2]-성경적 직분

 26.교회 직분 [3]-교회의 열쇠

 12.그리스도의 사역 [1]-위격적 연합

 27.교회의 권세 [1]-교리권

 27.교회의 권세 [2]-입법권

 27.교회의 권세 [3]-사법권(권징)

 13.구속자 그리스도 [1]-예수 그리스도

 13.구속자 그리스도 [2]-비하

 13.구속자 그리스도 [3]-승귀 

 28.성례, 세례 [1]-성례의 비밀

 28.성례, 세례 [2]-죽음과 삶의 표

 28.성례, 세례 [3]-유아세례

 14.그리스도의 대속 [1]-성부, 성자

 14.그리스도의 대속 [2]-대리적 무름

 29.성찬 [1]-성도들의 영적 잔치

 29.성찬 [2]-영적, 실재적인 현존

 29.성찬 [3]-화체설, 공재설, 거짓 성례

 15.성령 [1]-일반은총, 특별은총

 15.성령 [2]-성령의 이름, 성령과 믿음

 30.국가 [1]-국가 통치의 목적, 통치자

 30.국가 [2]-법, 국민


.........................................................................


지상강좌를 통해 목회자들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평신도들에게도 기독교강요를 통해 칼빈의 신학과 신앙을 쉽게 이해하도록 하겠지만 목회자들이 기독교강요로 설교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글을 쓰는 최고의 목적입니다.

기독교강요는 교리서입니다그렇기 때문에 설교를 할 수 있는 좋은 서책입니다본문을 선택해 설교 제목을 잡아 묵상을 하면서 설교를 작성해 나가면 원래 신학적 뜻에 벗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칭의를 말하고 있는데 성화를 가르치면 안됩니다. 기독교강요를 알면 절대로 본문을 놓치지 않습니다. 칼빈은 기독교강요를 주석 설교 신학적 잡지등과 같이 읽기를 원하면서 기록하였습니다. 기독교강요는 기본교리로서 중심을 잡아주고 주석을 참고하도록 헸습니다. < 문병호 교수의 글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