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라(Tora)= 모세 오경(Pentateuch)의 비밀: 율법서

 

헤 펜타튜코스(ὴ πεντάτευχος)= 70인역(LXX)의 학자들에 의해서 생긴 단어.

(성경: 비브로스(βίβλος)

 

1. 창세기 (베레쉬트= Bere-shi-t; תישׁארב)- 게네시스(Γενεσίς)

창세기는 히브리어 성경 토라 중에 제일 처음 책으로 히브리어의 첫 단어인 베레쉬트= 시작의 때에로, 이 단어는 불분리 전치사에 구문형 사가 합쳐져 이루어진 것이다. 이를 헬라어로 번역하며는 엔 아르케(ʾΕν άρχῇ)이나, 오히려 70인역은 게네시스(ΓΕΝΕΣΙΣ)로 하였고, 우리는 창세기라 부르게 되었다.

 

2. 출애굽기 (쉐모트= Shemo-t; תוֹמשׁ)- 엑소도스(εχοδος)

히브리어의 두 단어(베에레 쉐모트= תוֹמשׁ הלאו)= 그리고 이것들은 이름들이다 중에, 두 번째 단어를 사용하여 히브리어 성경의 책명을 사용하였다. 헬라어로 오노마타(τὰ ὀνόνατα)이나, 70인역은 엑소도스, 영어로 Exodus 하여 이집트의 탈출기인 출애굽기로 하였다.

 

3. 레위기 (바이크라= Vayyiqra-; ארקיו)- 류이트콘(λευιτίκον)

레위기는 "바이크라 엘 모쉐" = 그리고 그 분께서 모쉐를 부르셨다로 시작하는데, 레위기의 첫 단어 동사인 바이크라 =그리고 그 분께서 부르셨다에서 유래되어 히브리어  원전 성경의 이름이 되었고, 헬라어로는 카이 아네카레세(Και ἀνεκάλεσε)이나, 오히려 70인역은 류이티콘 (ΛΕΥΙΤΙΚΟΝ)이라고 하였다.

 

4. 민수기 (베미드바르= Bemid'bar)= רבדמב)- 아리드모이(αριθμοι)

민수기는 바예다베르 아도나이 엘 모쉐 베미드바르 시나이 ... = 그리고 주님께서 모쉐에게 시나이 광야에서 말씀하셨다로 시작되는 내용으로, 히브리어 성경에 5번째 단어인 bemid'bar 를 민수기 저서명으로 한 것으로, 히브리어의 명사 앞에 불분리 전치사가 붙어 이루어진 단어로, 문자적 의미는 광야에서, 광야 안에서라는 뜻인데, 헬라어로는 엔테 에레모(ἐν τῇ ἐρήμῳ)이다. 그러나 70인역은 성경의 표제를 아리드모이(ΑΡΙΘΜΟΙ)로 우리 글로 ‘숫자들’이기에 이에 대한 한자를 빌려 민수기로 정한 것이다.

 

5. 신명기 (데바림= Deva-ri-m; םירבד)- 듀테로노니온(δευτερονομιον)

에레 하데바림=  지대, 정관사+명(남,복);이것들은 그 말씀들로 시작하는데, 성경의 첫 번째가 아닌 두 번째 단어를 써서 히브리어 성경의 표제가 되었으나, 이를 그대로 번역한 헬라어로는  호이 로고이(οἱ λόγοι)이다. 그러나, 오히려 70인역은 표제의 이름을 바꾸듀테로노니온  (ΔΕΥΤΕΡΟΝΟΜΙΟΝ)이라 정하므로 우리에게는 신명기로 불려지게 되었다.

 

*** 유대인들이 사용하는 토라와, 우리가 사용하는 모세 오경에 대한 차이의 비밀은, 토라에 오경의 이름은 성경 히브리어에 쓰여진 원어를 근거로 하여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면, 70인역에 영향을 받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성경은 그 성경 안에 중심 내용을 성경책 명을 정하였다는 사실이다.

 

http://www.tanak.com/chnet2/board/index.html?id=3&code=b28&cate=&start=0&category=&word=&viewType=&category_id=&category_name=&gfil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