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LVIN의 생애와 신학사상

 

칼빈생애.pdf

 

I. 서론


 

사람에게서 그 생애와 업적의 의미를 결정해 주는 것은 질그릇과 같은, 그 인간 자신의 성공, 실패나 그의 사상의 윤곽에 있는것이 아니라 그가 잡으려고 한 대상, 그가 철저히 자신의 생을 바쳐서 섬기려고 애쓴 그 당사자의 품위와 추진력에 지배받는 것이다.1) 그러한 면에서 칼빈은 진정한 그리스도의 종이며, 자기가 처한 역사적 환경에서 그에게 순종하려고 모험과 결단을 감행한 사람이었다. 칼빈은 로마 교회로부터 프로테스탄트로, 교황 주의적인 미신으로부터 복음주의적 신앙으로, 스콜라주의적 전승주의로부터 성서적인 단순성으로 돌아섰다고 샤프가 말했듯이 그는 갑자기 회심하게 되었다. 그의 회심에 대한 확실한 이야기는 없지만 그는 하나님을 향해 돌아섰고, 서구 기독교 사상에 획기적인 선을 그었다. 나는 여기서 이러한 칼빈의 출생부터 회심, 그리고 그 이후의 사건들을 중심으로 생애를 살펴보고, 칼빈의 신학사상에서는 칼빈의 신학 출발점으로부터 신인식, 성서론, 삼위일체론, 성령론, 칭의와 성화, 인간의 전적 타락, 예정론의 순서로 연구하고자 한다.


 

II. 본론

A. 칼빈의 생애

1. 성장과 회심


존 칼빈은 프랑스 피칼디 주 노용시에서 1509에 출생하였는데 그곳은 파리에서 북동쪽으로 약 60마일 되는 곳이었다. 그의 아버지는 자녀들에 대하여 사소한 일이라도 예사로 생각하지 않는 엄격한 사람이었다.2) 칼빈은 이 아버지 (제넬코반)에게서 지식욕과 조직전 두뇌를 물려 받았고, 어미니 쟌느 르 푸랑에게서는 경건을 배웠다. 그의 가정은 사회적 부와 지위를 함께 가졌었고, 칼빈은 유복한 가정에서 자랐다고 볼 수 있다.3) 그의 아버지는 법률가였지만 자신의 아들을 처음에는 신부로 만들 생각으로 칼빈이 12세 되었을때 그의 생활비에 넉넉할 만큼의 수입이 있는 교회사 직분에 붙여 주었다. 칼빈은 교직을 목표로 훈련받았고, 학교에서는 조수의 일도 보았다. 1523년 14살때에 칼빈은 멀리 유학을 떠났다. 그는 귀족 몬모르와 젠리의 자제들과 함께 라 마르슈 (La Marche) 대학에 입학 하였다. 당시 라 마르슈 대학은 프랑스 인문주의 신문화의 본산이며, 국왕 프랑소아 1세의 교육제도의 중앙 집권정책에 따라서 견실하게 발전하던 곳이었다. 칼빈은 이 대학에서 교수 코디어 (Maturin 1) Cordier)에게 라틴어를 배웠고 이것은 다른 개혁자들보다 훨씬 나은 라틴어를 쓸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

............................

 

칼빈생애.pdf

 

출처: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