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도에 대한 이해와 태도 [하권.7-02]
- 요한복음15:7 -
[요한복음15:7] “너희가 내 안에 거하고 내 말이 너희 안에 거하면 무엇이든지 원하는 대로 구하라 그리하면 이루리라.”
*** 기도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기도는 성도가 가진 영의 생명을 유지하고 성장시키는 호흡과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기도는 구하고 받는 행위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기도는 그 이상의 것이다. 그것은 하나님의 영광이며, 영원한 생명의 기쁨이다.
*성경에 기록되어 있는 기도에 대한 여러 가지 가르침을 생각하여 보자.
1. 기도에 대한 이해
(1) 성경을 통한 이해
① 기도는 항상 어떤 특정한 사건과 관련되어 있다.
○ 이스라엘 사람들은 과거와 현재에 일어난 사건들을 배경으로 약속(예언)된 사건들이 미래에 이루어지기를 바라면서 기도했다.
② 기도의 내용은 역사성을 지니고 있다. 곧 구원의 역사 자체가 기도로서 구성되어 있다.
○ 이스라엘 사람들은 하나님께서 과거에 어떻게 약속하시고 성취 하셨는가를 상기하면서 현재에 부딪친 난관을 해결하여 주시도록 기도했다.
(2) 신학자 죤 칼빈(John Calvin)의 견해를 통한 이해
① 기도는 실로 호흡과 같아서 거룩한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지식이 내 몸에 살아 움직이는 징표가 되는 것이다.
② 기도는 반듯이 소원을 빌거나 자신의 일에 대한 성취를 요청하는 것이 아니다. 기도는 하나님과의 영적인 교제이다. 곧 인간과 창조주 하나님 사이의 긴밀한 교제이다.
2. 기도에 대한 태도
(1) 유일하신 참 하나님과 그의 보내신 자 예수 그리스도를 알고 믿는다.
① 하나님 아버지와 예수 그리스도는 창조주가 되심을 믿는다. (창세기1:1, 요한복음1:1-3)
② 예수님은 하나님의 독생자요 구주 그리스도가 되심을 믿는다. (요한복음3:16, 마태복음16:16)
③ 하나님은 자기를 알고 찾는 자에게 상을 주시는 분이심을 믿는다. (요한복음17:3, 히브리서11:6)
(2) 자신이 죄와 허물로 말미암아 죽은 자인 것을 알고 구원하여 주시기를 소원한다.
① 먼저 자신이 죄와 허물로 말미암아 죽은 자인 것을 안다. (창세기3:1-24, 에베소서2:1)
② 구원의 언약을 믿고 예수 그리스도를 자신의 구주로 영접한다. (창세기3:15, 요한복음1:12)
③ 구원받은 자에게 약속된 하나님의 신령한 축복을 믿고 구한다. (에베소서1:3-14)
(3) 자신의 정신과 마음을 하나님과 대화하기에 적합하게 만든다.
① 형식적인 기도가 아니라 믿음으로 기도한다. (이사야서1:15, 예레미야서11:7-11)
② 자기 사상과 염려를 벗어버리고 기도에 마음을 집중시킨다. (마가복음4:19, 빌립보서4:6)
③ 하나님의 말씀을 기억하고 그 가르침에 따라 기도한다. (요한복음14:26)
④ 성령이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므로 성령께 의탁하며 기도한다. (로마서8:26-27)
⑤ 진실한 마음으로 간절히 기도한다. (야고보서5:13)
(4) 전적인 자기 겸허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것만 생각한다.
① 하나님의 영광이 나타나기를 구하는 것은 기도의 시작이며 또 준비가 된다. (요한복음17:1)
"예수께서 이 말씀을 하시고 눈을 들어 하늘을 우러러 가라사대 아버지여 때가 이르렀사오니 아들을 영화롭게 하사 아들로 아버지를 영화롭게 하게 하옵소서" (요한복음17:1)
② 기도하는 모든 일이 하나님을 영광스럽게 하는 것이어야 한다. (요한복음17:4, 고린도전서10:31)
③ 주와 함께 영광을 받기 위하여 고난도 함께 받아야 될 것이다. (로마서8:17)
+ 죤 칼빈에 의하면 기도는 하나님의 은택을 매일 받는 믿음의 으뜸가는 행사이다(기독교강요 Ⅲ.ⅹⅹ.2).
*** 하나님의 자녀들에게 있는 으뜸가는 특권이 기도하는 것이요, 그들이 기도를 통해서 그들의 믿음의 참된 증거를 나타내 보이기 때문에 기도를 '믿음의 영속적 행사'(perpetual exercise of faith)라고 부른다. 즉 우리의 심령 속에 참되고 살아 있는 믿음이 있으면 기도가 저절로 즉시 터져 나온다(마태복음21:21 주해).
기도는 인간의 심령 속에 신앙이 현존할 때 불가피하게 나타나는 결과 (the inevitable outcome of the presence of Faith)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