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병이어의 기적

- 요한복음 6:1-15 -

샬롬선교회 


[요한복음 6:1-15] “1. 그 후에 예수께서 디베랴의 갈릴리 바다 건너편으로 가시매, 2. 큰 무리가 따르니 이는 병자들에게 행하시는 표적을 보았음이러라. 3. 예수께서 산에 오르사 제자들과 함께 거기 앉으시니, 4. 마침 유대인의 명절인 유월절이 가까운지라. 5. 예수께서 눈을 들어 큰 무리가 자기에게로 오는 것을 보시고 빌립에게 이르시되 우리가 어디서 떡을 사서 이 사람들을 먹이겠느냐 하시니, 6. 이렇게 말씀하심은 친히 어떻게 하실지를 아시고 빌립을 시험하고자 하심이라. 7. 빌립이 대답하되 각 사람으로 조금씩 받게 할지라도 이백 데나리온의 떡이 부족하리이다. 8. 제자 중 하나 곧 시몬 베드로의 형제 안드레가 예수께 여짜오되, 9. 여기 한 아이가 있어 보리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가지고 있나이다 그러나 그것이 이 많은 사람에게 얼마나 되겠사옵나이까. 10. 예수께서 이르시되 이 사람들로 앉게 하라 하시니 그 곳에 잔디가 많은지라 사람들이 앉으니 수가 오천 명쯤 되더라. 11. 예수께서 떡을 가져 축사하신 후에 앉아 있는 자들에게 나눠 주시고 물고기도 그렇게 그들의 원대로 주시니라. 12. 그들이 배부른 후에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남은 조각을 거두고 버리는 것이 없게 하라 하시므로, 13. 이에 거두니 보리떡 다섯 개로 먹고 남은 조각이 열두 바구니에 찼더라. 14. 그 사람들이 예수께서 행하신 이 표적을 보고 말하되 이는 참으로 세상에 오실 그 선지자라 하더라. 15. 그러므로 예수께서 그들이 와서 자기를 억지로 붙들어 임금으로 삼으려는 줄 아시고 다시 혼자 산으로 떠나 가시니라."

.........................

 

본문은 '오병이어의 기적'으로 불리는 사건이 기록되어 있는 부분이다. 요한복음에서는 <네 번째 표적>이다. 신약의 네 복음서에는 예수님이 행하신 많은 기적이 기록되어 있지만, 네 복음서가 공통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기적은 이 '오병이어의 기적' 한 가지뿐이다.

 

1. 예수님의 불시 시험

 

'예고 없는 시험'이라는 것이 있다. 아무런 예고 없이 불시에 시험을 치르는 것이다. 보통 그런 선생님은 학생들이 싫어하지만, 교육적으로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다면 꼭 필요한 일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학생의 진짜 실력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성경 구절에서 예수님의 제자들에 대한 불시 시험을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요한복음에 표적으로 기록된 사건들을 통해 제자들이 얼마나 배웠는지 예수님은 시험해 보려고 하신 것이다.

 

예수께서 눈을 들어 큰 무리가 자기에게로 오는 것을 보시고 빌립에게 이르시되 우리가 어디서 떡을 사서 이 사람들을 먹이겠느냐"라고 말씀하셨다." 예수님이 왜 이런 질문을 하셨을까, 그 의도가 다음 구절(6)에 나와 있다. 즉 이 예수님의 질문은 제자 빌립에게 시험 삼아 하신 말씀이라고 설명한다. 예수님께서는 이미 어떻게 할 것인지 결정하셨는데....

 

'시험하다'라는 표현은 다소 심술궂은 느낌이 든다. 하지만 예수님은 여기서 자신의 제자에게 도전을 하고 계신 것이다. 이 말씀은 빌립뿐만 아니라 제자 전체에 대한 도전이었던 것 같다. 이번 구절은 '일곱 가지 표적'의 딱 중간쯤에 위치하는데, 지금까지의 중요한 내용들이 흘러나오고 있다.

 

2. 빌립과 안드레의 반응

 

그런데 여기서 주목하고 싶은 것은 제자 빌립과 안드레의 반응이다.

 

(1) 빌립의 반응

"각 사람으로 조금씩 받게 할지라도 이백 데나리온의 떡이 부족하리이다."

'이백 데나리온의 떡'이란 무슨 뜻일까? 당시 1 데나리온은 하루 생활비이었다. 그러니 이백 데나리온이라고 하면 이백일치 생활비인 셈이다. 빌립이 왜 여기서 이백 데나리온이라는 숫자를 썼는지는 알 수 없다. 하나의 기준으로 삼은 것일 수도 있다. 아무튼 이렇게 많은 사람들(오천 명이라는 것은 남자들만 해당되며, 여자와 아이들을 포함하면 1~2만 명 정도라고 보면 된다)이 이백일치 임금으로 떡을 사먹어도 모자랄 것이라고 말한 것이다. 그는 계산을 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사물을 판단하는 매우 현실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요컨대 그는 "무슨 수를 써서라도 이 많은 사람들에게 떡을 주는 것은 불가능하다"라고 대답한 것이다.

 

(2) 안드레

이 대화를 옆에서 듣고 있던 제자 중 한 명인 안드레가 예수님에게 여기 한 아이가 있어 보리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가지고 있나이다. 그러나 그것이 이 많은 사람에게 얼마나 되겠사옵나이까.(9)"라고 말했다.

안드레는 '보리떡 다섯 개와 작은 물고기 두 마리'를 가진 소년을 발견했다. 떡이라고 해도 오늘날 우리가 먹는 통통한 떡의 이미지와는 전혀 다르다. 떡은 조잡한 크래커 같은 것이었다. 생선도 말린 생선이었다. 안드레는 그것이 이 많은 사람에게 얼마나 되겠사옵나이까."라고 말했다. 예수님의 '어디서 떡을 사서 이 사람들을 먹이겠느냐'는 도전에 대해 이 두 제자가 내린 결론은 오천 명을 먹이는 것은 도저히 불가능하다는 것이었다.

 

3. "이 사람들로 앉게 하라". "그것을 여기 가져오라"

 

그래서 예수님은 어떻게 하셨을까?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이 사람들을 앉게 하라"고 명령하셨다(10). '앉히다'라는 동사는 'Ανάπι-πτο 아나피푸토' 로 식사를 하기 위해 앉는다는 뜻이다. , 단순히 '앉으라'는 뜻이 아니라 앞으로 예수님께서 사람들에게 식사를 제공한다는 의미로 말씀하신 것이다. 마태복음은 예수님께서 "그것을 여기 가져와라"라고 말씀하셨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것'은 소년이 가지고 있던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말한다.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예수님 손에 쥐어드렸다고 해서, '사람들을 앉히라'는 예수님의 지시에 제자들은 내심 당황스러웠을 것이다. 하지만 제자들은 예수님의 말씀에 순순히 따랐다.

 

예수님은 2장 가나의 혼인잔치에서 '포도주가 떨어졌다'는 현실 속에서 물을 포도주로 바꾸는 기적을 행하셨는데, 그때도 하인에게 '물동이에 물을 채우라'고 말씀하셨다. 그 예수님의 말씀에 대해 '그들은 물동이를 가장자리까지 가득 채웠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것을 관리인에게 "가지고 가라"는 말씀에도 그들이 따랐을 때, 연회 관리인이 입에 댄 것은 향기로운 포도주였다. 이 때 만약 하인들이 '포도주가 없다고 하는데 물동이에 물을 채우면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고 생각하고 따르지 않았다면 연회에 좋은 포도주를 내놓을 수 없었을 것이다.

 

4장 후반부에 나오는 "한 왕실 관리가 죽어가는 아들을 위해 도와달라는 이야기가 있었다. 아버지는 예수님께 가서 "자기 집에 와서 아들을 어떻게 하든 치료해 달라, 자기 자식이 죽기 전에 빨리 와 달라"고 간청했다. 그때 예수님은 뭐라고 말씀하셨을까? "돌아가라. 네 아들이 나았으니 돌아가라"고 말씀하셨다. ("당신의 아들은 살 것이다"). 

이 말씀을 들은 아버지는 예수님의 말씀을 믿고 집으로 돌아간다. 하지만 아마 마음속에는 걱정이 계속 있었을 것이다. 만약 병이 낫지 않았다면, 어떻게 하든 예수님을 자기 집으로 데려왔어야 했다는 마음과 싸우고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믿으려고 했다. 그 결과 예수님의 말씀과 동시에 아들이 치유된 것이다.

 

요한복음 38년 동안 병으로 누워있던 사람에게도 '낫고자 하느냐'는 마음을 불러일으키며 '일어나 네 자리를 들고 걸어가라'고 예수님은 말씀하셨다. 이 말씀을 듣고 믿었을 때 그는 용기를 내어 일어서서 실제로 걸을 수 있었다.

 

가나의 혼인잔치에서도, 자신의 아들이 죽어가는 관원에게서도, 38년 동안 병든 사람에게서도 예수님은 말씀을 던지신다. 그 때, 예수님이 던지신 말씀을 듣고 믿었을 때 기적이 일어났던 것이다. 이 점이 매우 중요하다.

"포도주가 없습니다", "아들이 죽게 생겼습니다", "아무도 나를 연못에 넣어줄 사람이 없습니다". ・・・・ 이것은 '보이는 세상'의 현실이다. 이 현실에 대해 예수님이 취하신 해결 방법은 '말씀'이다. 하나님의 말씀을 주시는 것이다. 보이는 세상이 지배하는 사람들은 보이는 방법으로 해결해 주기를 바란다. 관리는 "내 집에 와서 내 아들을 낫게 해 달라"고 했다. 38년 된 병자는 "아무도 나를 연못에 넣어줄 사람이 없다, 누가 나를 연못에 넣어줄 사람이 있으면 고칠 수 있을 터인데"라고 말한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렇게 해결하지 않으셨다. 그저 말씀을 주셨을 뿐이다. "돌아가라. 네 아들은 살리라", "일어나 네 자리를 들고 걸어가라"는 말씀이다. 예수님의 말씀은 아버지의 말씀이고, 하나님의 말씀이다.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고(창세기 1:3)", 그런 힘 있고 창조적인 힘을 가진 말씀이다.

 

요한복음 6장의 예수님의 도전은 제자들이 정말 '듣고 믿는 자'로 성장하고 있는지, 이를 위한 불시 테스트였다. 과연 그들은 이 시험에 합격했을까?

처음에 그들은 '보이는 세상'으로 판단했다.

6:7. 빌립이 대답하되 각 사람으로 조금씩 받게 할지라도 이백 데나리온의 떡이 부족하리이다.

6:8. 제자 중 하나 곧 시몬 베드로의 형제 안드레가 예수께 여짜오되,

6:9. 여기 한 아이가 있어 보리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가지고 있나이다. 그러나 그것이 이 많은 사람에게 얼마나 되겠사옵나이까.

 

이는 '보는 세계'에서의 판단이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들을 '듣는 세상'으로 이끄신다. "네 아들은 살리라", "일어나 일어나 걸어가라", 여기서도 예수님은 "사람들을 일으켜 세우라"고 도전하신다. 믿음의 세계, 듣고 따르는 세계, 이성으로는 생각할 수 없는 세계에 대한 도전이다. '사람들을 먹이라'는 말씀은 예수님 자신이 눈앞에 있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떡을 주겠다는 선언이다.

 

그런데 예수님은 안드레가 '그것이 이 많은 사람에게 얼마나 되겠사옵나이까'라고 생각했던 적은 것, '오병이어'를 가지고 감사를 드린 후 제자들을 통해 앉아있는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셨다. '그렇게 많지 않으니 이 정도로만 참아주시오'가 아니라, '그들이 원하는 만큼 나누어 주셨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충분히 배를 채웠을 뿐 아니라 남은 부스러기를 모으니 12바구니가 한꺼번에 채워졌다고 한다.

 

4. 예수님의 손에 맡겨질 때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는 정말 적은 것, 작은 것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요한은 떡을 그냥 떡이 아니라 '보리 떡'이라고 적고 있다. 밀떡이 아니라 보리로 만든 떡은 가장 질이 낮은 떡이라는 뜻이다. 그런 것일지라도 일단 예수님 손에 드려졌을 때, 예수님은 그것을 받으시고 축복하셨다. 소년이 드린 것을 예수님은 축복하셨고, 많은 사람들이 배불리 먹을 수 있을 만큼의 필요를 채우신 것이다.

 

현대는 작은 것(적은 것)은 가볍게 여기고, 큰 것(많은 것)이 가치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대접을 받는 시대다. 소수의 의견은 무시되고 다수의 의견이 항상 옳은 것처럼 판단되는 시대다. 소박한 것보다는 화려한 것, 화려한 것이 대접을 받는 시대다. 지방보다는 도시로, 가난한 것보다는 부유한 것..., 그리고 가능한 한 빨리, 가능한 한 크게 되는 것에 사람들은 몰두하고 있다.

 

소년이 가지고 있던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예수님 앞에 내놓지 않는다면, 그것은 그것으로 끝이다. 베드로와 바울이라는 사도들조차도 자신의 힘으로 섬길 때는 무력했다. 그러나 예수님 앞에 가서 모든 것을 내려놓았을 때 비로소 하나님께 귀하게 쓰임 받았다.

비록 사람의 눈에는 작은 것, 보잘 것 없는 것, 별 볼일 없을 것 같아도, 자신에게 주어진 것을 예수님의 것으로 드릴 때, 예수님은 그것을 몇 배, 몇 십 배, 몇 백 배로 사용하신다는 것이 이 기적이 가르쳐 주는 것이다. '이것이 없다, 저것이 없다'가 문제가 아니라, '지금 내게 주어진 것을 알고, 그것을 감사히 여기고, 그것을 드릴 때 우리가 생각지도 못했던 세계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우리가 머리로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일이라도 주님의 손에 맡길 때, 불가능이 가능해지는 세상이 있다는 것을 예수님은 이 사건을 통해 우리에게 가르치려 하셨던 것 같다.

 

우리도 나라는 존재, 내가 가진 모든 것을 포함하여 주님께 내어드릴 때 하나님의 기적이 일어나리라 믿는다.

...........................

 

마지막으로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한 마디를 떠올리고 싶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한 알의 밀이 땅에 떨어져 죽지 아니하면 한 알 그대로 있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느니라."(요한복음 12:24)

 

예수님 자신이 자신의 생명을 '한 알의 밀알'에 비유하여 바치는 것이 기록되어 있다. '죽는다'는 것은 자신을 주님께 드린다는 뜻이다. 자기중심적인 씨앗의 껍질을 깨뜨릴 때, 거기서 새로운 생명의 싹이 튼다. 그 생명의 싹은 하나님의 사랑의 생명의 싹이다. 그 싹은 하나님이 부어주시는 힘으로 자라나 많은 열매를 맺어 많은 사람에게 나누어 주게 된다. 다만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을 (아무리 가난해도, 아무런 힘과 능력이 없어도) 내어놓는 것이다. '그것을 여기에 가져오라'는 주님의 음성을 듣고 순종하는 것이다. 그렇게 할 때 하나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것이다. '네 번째 표적'은 그런 세상으로 우리를 초대하려고 한다.

 

http://meigata-bokushin.secret.jp/index.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