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보았다

- 요한복음 14:7-11 -

샬롬선교회

 

[요한복음 14:7-11] “7. 너희가 나를 알았더라면 내 아버지도 알았으리로다. 이제부터는 너희가 그를 알았고 또 보았느니라. 8. 빌립이 이르되 주여 아버지를 우리에게 보여 주옵소서 그리하면 족하겠나이다. 9. 예수께서 이르시되 빌립아 내가 이렇게 오래 너희와 함께 있으되 네가 나를 알지 못하느냐 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보았거늘 어찌하여 아버지를 보이라 하느냐. 10. 내가 아버지 안에 거하고 아버지는 내 안에 계신 것을 네가 믿지 아니하느냐 내가 너희에게 이르는 말은 스스로 하는 것이 아니라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셔서 그의 일을 하시는 것이라. 11. 내가 아버지 안에 거하고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심을 믿으라. 그렇지 못하겠거든 행하는 그 일로 말미암아 나를 믿으라."

.................

 

요한복음 14장에는 '믿다'라는 동사와 지각동사인 '알다', '보다', '듣다'라는 단어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사용되고 있다

 

1. 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보았다.

 

- "내가 아버지 안에 거하고 아버지는 내 안에 계신 것"(요한복음 14:10,11) -

요한복음 10:30에는 "나와 아버지는 하나이니라."는 말씀이 있다.

'에고- 카이 호 파테-르 엔 에스멘' ἐγκαι πατρ ν σμεν. 이 말씀은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깊이 음미하고 바르게 이해해야 하는 말씀이다. 왜냐하면 이 점이 바로 기독교의 이단과의 갈림길이기 때문이다.

 

보통 '하나'는 동일하다는 뜻이지만, 여기서 말하는 '하나''''아버지'가 각각 존재의 고유성을 가지면서도 '하나'라는 신비한 관계이다. 요한복음은 이 진리를 곳곳에서 다루고 있으며, 이 신비로운 관계에 주목하게 하기 위해 쓰여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요한복음은 아버지와 아들이 가지고 계신 '사랑의 관계'로 우리를 초대하려고 한다.

각각 고유한 두 존재가 '하나'가 된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논리적으로, 물리적으로 일어날 수 없는 일이다. 그 일어날 수 없는 일이 일어나고 있다. 그것은 아버지와 아들의 '사랑'의 관계를 통해서만 가능한 것이다.

 

"나는 아버지와 하나이니라"(10:30)는 표현은 요한복음 14:9에서 "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본 것이요"로 번역된다. 로 바꿔서 표현할 수 있다.

ὁ ἑωρακς μὲ ἑώρακεν τν πατέρα: - The One having seen me has seen the Father.

10절에서는 '내가 아버지께 있고 아버지가 내게 계시다'라고 표현하고 있다.

γὼ ἐν τπατρκαὶ ὁ πατρ ν μοί στιν;. - I am in the Father and the Father in me is.

 

예수님은 군중을 향해 하나님 나라에 대해 말씀하실 때, 반드시 '비유'로 말씀하셨다. '비유'로 말씀하심으로써 그 의미가 무엇인지 묻지 않으면 알 수 없는 구조이다. 관심이 없으면 그게 무슨 뜻이냐고 묻지 않는다. 따라서 그것은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예수님의 전술이었던 것이다. 관심이 없는 자는 "보고도 보지 못하고, 듣고도 듣지 못하고, 깨닫지 못하기 때문이다."(마태복음 13:13)라는 일이 일어난다. 이는 이미 이사야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을 때 하신 말씀이다(이사야 6:9-10). 참고로 사도 바울도 로마에서 유대인들에게 복음을 전할 때에도 마음을 완악하게 하는 그들에게 이사야 6:9을 인용하고 있다. 그러나 예수님의 제자들에게는 "너희 눈은 보고 있으니 다행이다. 또 너희 귀가 들으니 복이 있도다"라고 말씀하시며 '비유'의 의미를 알려주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년 동안 잠자리를 함께한 제자 빌립으로부터 "주여. 우리에게 아버지를 보여 주시면 족하겠나이다."(14:8)라는 말에 대해 예수님도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내가 이렇게 오래 너희와 함께 있으되", “어찌하여 아버지를 보이라 하느냐"라고 말씀하셨다.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예수님의 행하시는 일을 보면서 아버지를 보여 주셨다고 생각했던 예수님으로서는 빌립의 말에 실망하셨던 것 같다.

 

9절의 예수님의 이 실망의 목소리는 결코 남의 일이 아니다. 우리가 과연 아들을 보고, 아들의 음성을 듣고, 아버지를 보고, 아버지를 이해하고, 안다고 말할 수 있느냐는 질문을 던지고 있는 것 같다. 아들과 아버지가 사랑으로 마주하고 있는 그 신비로운 모습, '나와 아버지는 하나다'라는 진리를 제대로 받아들이고 있는지 묻고 계신다. “내가 아버지 안에 거하고 아버지는 내 안에 계신 것"(14:10)을 믿으라는 것이다. 바로 이 부분이 요한복음이 가장 전하고 싶은 내용이다.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는 이미 요한복음 1:18에서 본래 하나님을 본 사람이 없으되 아버지 품속에 있는 독생하신 하나님이 나타내셨느니라."고 말씀하고 있다. 또 요한복음 6:46에는 이는 아버지를 본 자가 있다는 것이 아니니라. 오직 하나님에게서 온 자만 아버지를 보았느니라."고 말씀하고 있다. 이처럼 아버지와 아들은 항상 서로 '얼굴과 얼굴을 맞대고 있다'는 이미지가 있다. 그리고 그 '얼굴과 얼굴을 맞대고 있는' 사랑의 관계를 요한복음은 '영원한 생명' 혹은 '아버지의 집에 오는 것', '아버지의 집에 거하는 것', '아버지께 머무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 요한 특유의 표현인 '영생을 얻는 것''아버지의 집에 와서 그 집에 거하고 머무는 것'은 동의어인 것이다. 그러나 이 내실(內實)을 말로 설명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믿는다는 형태로 직관적으로 받아들이는 세계이다. 혹은 성령께서 주시는 깨달음이라고도 할 수 있다.

 

2. 내가 아버지께 있고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신 것을 믿으라.

 

11절에서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내가 아버지 안에 거하고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심을 믿으라."고 말씀하신다. '내가 아버지께 있고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신다.'는 말은 머리로 이해하거나 말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수님은 이 사실을 있는 그대로 믿으라고 말씀하신 것으로 이해한다. 믿어야만 비로소 보이는 생명의 세계가 있다는 뜻이라고 생각한다.

 

아버지와 아들이 '마주보는 얼굴'. , ''''가 마주보고 있다. 요한복음 1:1'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다'는 말씀이 있는데, 이는 서로 얼굴과 얼굴이 마주보고 있음을 가리키는 말씀이다. 그런데 또 다른 하나님이신 성령에게는 아버지와 아들과 같은 '마주 보는 얼굴'이 없다. 예수님이 성령을 향해 '당신'이라고 부르며 기도하는 모습을 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얼굴과 얼굴이 마주치지 않더라도 예수님은 성령에 의해 실제로 마음을 움직이시는 것은 사실이다. , 성령은 스스로 ''라고 말하면서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는 분이 아니라, 항상 곁에 있는 형태로 존재하고 곁에 있는 사람에 의해 증거되는 분인 것이다.

 

http://meigata-bokushin.secret.jp/index.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