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빈의 삼위일체론, 그 형성과정과 독특성

 

김재성 교수 (합동신학대학원, 조직신학)

 

I. 서론

 

기 독교 신학사에서 수많은 논쟁이 얽혀있는 삼위일체론의 정립에 가장 큰 기여를 한 신학자는 요한 칼빈이다. 그의 삼위일체론은 중세말기와 종교개혁 초기에 하나님에 대한 여러 이단들이 분출하는 가운데서 가장 성경적인 하나님 이해의 길을 열어놓았다. 그리고 삼위일체라는 매우 어려운 주제에 대해서 매우 딱딱하고 차가운 학문이라는 고정관념을 바꾸어 놓았다. 삼위일체를 접근하는 그의 신학적인 설명들은 목회적이요, 실천적이며, 성경적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가장 올바른 복음을 찾으려는 현대인들에게도 큰 길잡이가 되어주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까지도 칼빈의 개혁신학은 하나님에 대해서 이해하고자 노력하는 성도들에게 가장 균형잡힌 안목을 열어주는 나침반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 글에서 필자는 단순히 칼빈의 삼위일체론에 담긴 내용분석에만 그치지 않고, 그 형성과정을 중점적을 조명해 보고자 하며, 이를 근거로 하여 과연 기독교 신학사에서 가장 첨예하게 논의되어온 여러 주장을 뛰어넘어서 무엇인가 새로운 독창성을 가진 것이냐의 여부를 다루고자 한다. 지금부터 약 일 백여년 전에 칼빈 탄생 사백 주년을 기념하여 주옥같은 칼빈연구 논문을 펴낸 워필드 박사는 칼빈의 삼위일체론이야말로 기독교 교리사의 기념비적인 장을 열어놓았으며 새로운 발전이라고 극찬한바 있다. Benjamin Breckinridge Warfield, "Calvin's Doctrine of Trinity," Calvin and Augustine (Philadelphia: Presbyterian and Reformed, 1974), 198: "... not onl y a Biblical proof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argued with exceptional originality and force, but also of a strongly worded assertion and defense of the correctness and indispensableness of the current ecclesiastical formulation of it."

 

그런가하면, 그 후로 약 오십 여년 후에, 유럽의 대표적인 칼빈학자 프랑소와 방델은 칼빈은 당대 여러 종교개혁자들의 삼위일체론에 관한 이론들을 모아놓은 것에 불과하다는 비평을 내놓았다. Francois Wendel, Calvin: Origin and Development of His Religious Thoughts, tr. Phillip Mairet (1950; N.Y.: Harper and Row, Inc., 1963): 169: "Although devoid of originality, this trinitarian doctrine constitutes an essential part of the theology of Calvin." For Wendel, Calvin just follower of Martin Luther and Bucer on the matters of the Trinity. (I translated this book into Korean. Seoul: Christian Digest, 1997).

 

이제 다시 오십여년이 지난 후에 그간의 칼빈학자들이 내놓은 연구업적을 근거로 하면서, 특히 필자는 칼빈의 삼위일체론을 이해하는 핵심은 여러 차례의 논쟁을 통해서 형성된 과정을 주목해야만 한다는 것을 제시해 보려고 한다.

 

 

II. 하나님을 아는 지식과 삼위일체

 

II.i. 삼위일체론을 다룬기독교강요의 구조분석

 

하 나님은 과연 어떤 분이신가에 대해서 바르게 알고 믿는 것은 칼빈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제였기에, 그는 기독교 개혁신학의 초석을 놓은 많은 신학적 저술을 통해서 교회가 고백해야할 하나님에 관한 지식에 관하여 매우 주목할만한 교리들을 남겼다. 중세 시대에 변질된 하나님을 아는 지식을 다시 회복하기 위해서 칼빈을 비롯한 종교개혁자들은 예배와 섬김을 받으시는 하나님은 어떤 분인가에 대해서 심혈을 기울여 연구하였다.

 

성경을 통해서 발견한 하나님에 관한 지식은 칼빈으로 하여금 삼위일체되신 하나님을 고백하게 만들었다. 칼빈이 다섯 번의 개정을 거듭한 후 펴낸 1559년 최종판 기독교강요1권을 분석해 보면 저자의 의도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처음 열 두 장에 걸쳐서 칼빈은 성경이 가르치는 하나님과 거짓된 신을 대조한다. 그리고 제 13장을 삼위일체에 할애하고, 그에 기초하여 14장부터 18장까지 창조와 섭리을 다룬다. 따라서 초반은 기독교 인식론과 신론의 기초작업을 한 후에 삼위일체론을 제시한 것이고, 삼위일체론을 다룬 후에는 하나님이 하시는 두 가지 중요한 사역을 다루고 있다.

 

기독교강요113장을 다시금 상세히 들여다 보면, 먼저 삼위일체론을 다루는 칼빈의 주요 관심이 초대 교부들의 용어에 대한 비평적 논의에 있음이 드러난다 (2-6). 그리고 칼빈은 그리스도의 신성 (7-13)과 성령의 신성 (14-15)을 다루고, 하나님 안에서 하나됨과 구별됨 (16-20)을 설명한다. 마지막 부분 (21-29)은 반 삼위일체론자들에 대한 반박으로 매우 논쟁적이다.

 

하 지만, 칼빈의 그 어떤 교리라도 일반적으로 그러하듯이, 특히 삼위일체론은 불과 40여 쪽에 불과한데, 기독교강요113장을 요약하는 것만으로는 결코 충분하지 못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Calvi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tr. Ford Lewis Battles (Philadelphia: Westminster, 1959), I.xiii.1-29. [hereafter Institutes]. 120-159.

 

칼 빈의 삼위일체론은 그의 목회와 삶의 현장에서 일생 동안 수없는 논쟁을 해야만 했던 주제였다. 우리는 표면에 나타난 교리해설에 그쳐서는 안되고, 그 이면에 흐르고

..............................................................

............................................................

 

 

칼빈의 삼위일체론, 그 형성과정과 독특성ㅁ.pdf

- 이하의 내용은 pdf파일을 열어서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