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의 득세로 이어진 ‘아랍의 봄’, 기독교인은 더 위험해져..
국민일보의 보도에 따르면, 이집트에서 기독교인 시위대와 정부군 간 유혈 충돌로 26명이 사망하면서 아랍권 내 기독교인에 대한 안전 우려가 심각해지고 있다. 시민혁명이 성공한 튀니지 이집트 리비아 등에서 오히려 기독교인이 종교의 자유를 지키기는 더 어려워졌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고 AP통신 등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독재 정권이 무너진 후 이슬람 강경파의 세력이 거세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사태는 이미 예견되어 왔다. 시민혁명으로 독재정권이 무너진 아랍권 국가들에서 기독교 등 소수 종교를 믿는 신자들은 계속적으로 이슬람의 득세에 따른 종교 박해를 우려해 왔다.

혁명 전 아랍권 독재자들은 정권 유지를 위해서 이슬람 강경 세력을 억압하며 종교 갈등을 억누르는 정책을 펴왔다. 이슬람 소수파인 알라위파 출신이 득세하고 있는 시리아에서는 대다수인 이슬람 수니파 국민들을 억누르기 위해 오히려 기독교를 우대했었다.
하지만 시민혁명의 성공은 상황이 변화시켰다. 무슬림이 대부분인 지역에서 이슬람 강경파가 득세한 데다 이들은 종교 갈등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집트에서는 이미 지난 3월부터 이슬람교도와 기독교도 간 유혈 충돌이 벌어지는 등 기독교도가 테러의 대상이 되고 있었다. 이번 사태 역시 군부가 폭력을 조장했다는 설이 유력하게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아랍권 기독교인들이 가장 걱정하는 것은 이라크에서 있었던 기독교인에 대한 테러가 재현되는 것이다. 이라크에서는 2003년 독재자 사담 후세인이 몰락한 뒤 무슬림의 기독교도에 대한 테러가 심해졌다. 지난해 10월 바그다드 한 교회에선 총격 테러로 신자 51명과 목회자 2명이 숨졌다. 기독교인들은 위협을 피해 요르단과 시리아, 레바논 등지로 도망치고 있다. 그 결과 후세인 정권 붕괴 전 120만여명을 헤아리던 기독교도 수는 현재 40만명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이런 상황으로 인해 기독교도의 딜레마도 깊어지고 있다. 심정적으로는 민주화를 지지하고 독재정권에 반대하지만, 내심으로는 무슬림 집권 이후의 탄압과 테러 등이 두렵기 때문이다. 압달라 아부 하비브 전 레바논 주미 대사는 “아랍 지역에서 이슬람교도의 영향력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면서 “기독교인들은 이라크 사태가 재현될지도 모른다는 불안에 떨고 있다”고 말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이날 발표한 성명을 통해서 카이로 유혈 충돌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고 관련자들의 자제를 촉구했다. 오바마는 “이런 비극은 민주주의로 가는 과정에서 일어나서는 안 된다. 미국은 이집트 내 기독교도 등 소수자들의 권리가 반드시 존중돼야 한다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도 “이집트 과도 정부는 인권을 보호하고 시민의 자유를 보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2011년의 역사적인 개혁 정신을 수호하고 통합을 유지하라”고 호소했다.

아랍의 민주화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했던 시민혁명, ‘아랍의 봄’ 이후 아랍 국가들에서 오히려 이슬람 세력들이 권력을 승계하게 되면, 그 이후 민주주의와 인권 등이 얼마나 수호되고 기독교도와 같은 소수세력들에 대한 보호가 얼마나 잘 이루어질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해 국제사회의 관심이 요구된다.

http://www.missiontoday.co.kr/newsREAD.php?code=0800000&areacode=&num=9409&a=5&msg1=선교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