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일조 [상권.5-31]
- 창세기28:22 -
[창세기28:22] “내가 기둥으로 세운 이 돌이 하나님의 전이 될 것이요 하나님께서 내게 주신 모든 것에서 십분 일을 내가 반드시 하나님께 드리겠나이다 하였더라.”
[말라기3:10-12) “10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너희의 온전한 십일조를 창고에 들여 나의 집에 양식이 있게 하고 그것으로 나를 시험하여 내가 하늘 문을 열고 너희에게 복을 쌓을 곳이 없도록 붓지 아니하나 보라. 11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내가 너희를 위하여 메뚜기를 금하여 너희 토지소산을 먹어 없애지 못하게 하며 너희 밭의 포도나무 열매가 기한 전에 떨어지지 않게 하리니 12 너희 땅이 아름다워지므로 모든 이방인들이 너희를 복되다 하리라 만군의 여호와의 말이니라."
1. 십일조의 기원과 의미
- 십일조는 하나님의 은혜로 시작된 것이며, 믿음의 사람들이 자원하여 드린 헌금이었다. 곧 십일조의 의미는 성도들이 하나님의 은혜를 기억하고 감사한 마음으로 드린 신앙의 고백이었다.
(1) 근간에는 십일조를 부정하고 폐지하려는 자유주의 사상이 일어나 십일조 무용론을 주장하는 자들이 있다. 십일조는 율법시대의 산물이기 때문에 은혜시대인 지금에는 당연히 폐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하나님의 뜻과 어긋나는 어리석은 생각이다.
(2) 십일조는 율법 이전에 제정된 것으로서 우리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이 자원하여 드렸던 신앙전통이다.(창세기14:20) 곧 야곱이 벧엘에서 하나님의 임재를 체험한 이후에 자원하여 십일조를 약속하였다.(창세기28:22)
(3) 이후에는 법으로 제정되었다. “땅의 십분의 일 곧 땅의 곡식이나 나무의 과실이나 그 십분의 일은 여호와의 것이니 여호와께 성물이라.” (레위기27:30)
(4) 그 이후 신명기에서도 십일조를 강조하였으며(신명기12:6, 17:14:23, 28), 바벨론 포로 이후에도 변함없이 지속되었다.(역대기하31:5, 느헤미야서13:12) 구약의 마지막 선지자인 말라기 선지자도 십일조에 대하여 엄숙히 명령하고 있다.(말라기3:8-12)
(5) 그리고 신약시대에 와서도 예수께서 명령하셨다.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마태복음22:21)
2. 십일조를 바치는 이유
- 모든 수입은 하나님의 것으로 인정하고 구별하며 첫 예물(십일조)을 바쳐야한다. "네 재물과 소산물의 처음 익은 열매로 여호와를 공경하라" (잠3:9).
(1) 하나님의 은혜에 보답을 위해 (창세기14:20)
(2) 축복의 약속 실현을 위해 (창세기28:19-22)
(3) 하나님의 것을 고백하는 신앙 (레위기27:30)
(4) 신앙을 지키기 위해 (아브라함, 예수님)
(5) 하나님의 엄숙한 명령 (마태복음3:8-10)
(6) 하나님의 사업에 동참 (민수기18:21-26)
(7) 선한 사업을 위해 (신명기14:28-29)
(8) 축복을 받는 통로 (신명기12:6-7, 말라기3:8-10)
3. 십일조를 바치는 방법
(1) 감사한 마음으로 (창세기14:20)
(2) 즐거운 마음으로 (고린도후서6:7)
(3) 정성된 마음으로 (마태복음22:37-38)
(4) 자원하는 마음으로 (창세기28:19-22, 고린도후서6:7)
(5) 경외함으로 (신명기14:23~24)
(6) 구별되고 성별되게 (레위기27:32)
(7) 하늘에 보물을 쌓는 마음으로 (마태복음6:20)
(8) 순종하는 마음으로 (말라기3:8-10)
(9) 천국 백성의 의무감으로 (마태복음22:21)
(10) 믿음으로 (로마서14:23)
(11) 영적인 빚에 대한 상환으로 (로마서15:27)
(12) 선교 동참 의식으로 (고린도후서9:1-5)
4. 십일조의 종류
(1) 전리품 (창세기14:20) (선물)
(2) 곡식 (역대기하31:5, 6)
(3) 기름 (역대기하31:5, 6)
(4) 소 (레위기27:32)
(5) 양 (레위기27:32)
(6) 꿀 (역대기하31:5, 6)
(7) 채소, 과일 (역대기하31:5, 6)
(8) 땅의 곡식 (레위기27:30)
(9) 수입된 모든 것 (말라기3:10)
5. 십일조의 사용
(1) 제사장(레위인)의 기업 (민수기18:26)
(2) 레위족의 생활비 (민수기18:21-24)
(3) 구제(고아, 과부) (신명기14:28, 29, 26:12)
(4) 영적인 빚의 상환 (선교비)
(5) 복음전도의 활동 (신학교 등을 지원)
6. 십일조의 결과(축복)
(1) 영혼이 잘 됨 (요한삼서1:1-2)
(2) 복을 주심(생업) (말라기3:10)
(3) 지켜 주심 (말라기3:11)
(4) 땅의 풍성으로 채워주심 (말라기3:11)
(5) 열방이 인정함 (말라기3:12)
(6) 만사에 복되게 함 (신명기14:29)
(7) 열한 가지로 축복하심 (신명기28:1-14)
*** 신명기28:1-14에 보면, 복이라는 말이 무려 11회나 기록되어 있다. 십일조는 우리 성도로서는 신앙의 저울이요, 시금석이 된다.
십일조에 대한 불신앙을 갖고 있는 자들에게 하나님은 다음과 같이 경고하신다. "너희 곧 온 나라가 나의 것을 도적질하였으므로 너희가 저주를 받았느니라."(말라기3:9). 그리고 신명기28:15-68은 불순종하는 자에게 내리는 무서운 경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