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레미야서 연구

 

 

Ⅰ. 예레미야

 

  예레미야서는 젊은 시절 선지자의 도시 아나돗에서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제사장 힐기야의 아들인 예레미야가 기록한 선지서이다. 비탄에 잠긴 선지자 예레미야는 가슴이 찢어지는 듯한 메시지로, 유다의 목이 곧은 백성의 운명을 40년이 넘도록 선포한다.

  예레미야는 자기의 신랄한 메시지와 그에 따른 부정적인 반응 때문에, 자주 예언자의 직분을 그만두기를 원했다. 백성들은 자신들이 성전과 유일하게 참된 종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님이 예루살렘을 멸망시키지 않을 것이라고 믿었다. 예레미야가 그들에게 말해야 했던 것은, 하나님의 언약 조건들은 불순종에 대해 처벌을 명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그는 설교와 이적을 통해, 신실하게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것이 재난을 피하는 유일한 길임을 선언한다. 유다에 대한 실제적인 교훈을 위해 그에게 결혼이 허락되지 않았다(16:2). 바벨론의 침략으로 하나님의 심판이 있을 것이라는 그의 달갑지 않은 메시지 때문에, 그는 위협을 받았고 감옥에 갇혔다. 예레미야는 예루살렘 멸망 후 애굽으로 끌려가 그곳에서 죽었다.

  예레미야는 스바냐, 하박국, 다니엘, 에스겔과 동시대인이었고 그는 BC 약 627년부터 580년에 걸쳐 사역했다. 그의 사역은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BC 627-605년 까지 유다가 앗수르와 애굽에게 위협을 당할 때, BC 605-586 까지 유다가 바벨론에게 위협을 당하고 포위되었을 때, BC 586-580년 까지 유다가 몰락한 후에 예루살렘과 애굽에서 사역했다

 

주제와 문학적 구조

  기본적인 메시지는 필연적이고 피할 수 없는 하나님의 심판이 이스라엘의 배반과 불순종 위에 임한다는 것이다. 이 책은 네 개의 주요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선지자 예레미야의 소명(1장), 유다에 대한 예언(2-45장), 이방인들에 대한 예언(46-51장), 예루살렘의 함락(52장)이다.

  새 언약에 대한 부분은(30-33장) 언약에 대한 예레미야의 관심을 잘 나타내고 있다. 모든 선지자들의 책망과 호소는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언약관계에 기초하고 있다. 하지만 예레미야는 이것을 더욱 강조한다. 그는 옛 언약을 비난하는 것이 아니다. 언약이 계속 살아 있으려면 내면화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새 언약의 도래를 예언한다. 새 언약은 하나님의 백성의 마음에 새겨질 것이다(31:31-34)

 

예레미야 한 눈에 보기

 

초점

예레미야의

소명

유다에 대한 예언

이방인들에

대한 예언

예루살렘의 멸망

관련구절

1:1               2:1             26:1          30:1             34:1            46:1              52:1

구분

예언적

사명

유다에 대한 책망

예레미야의 갈등

예루살렘의 미래 회복

예루살렘의 현재 멸망

아홉 국가에 대한 책망

역사적 결론

주제

멸망이전

멸망

멸망 이후

부르심

사역

회상

장소

유다

주변국가

바벨론

기간

BC 약 627-580년

 


Ⅱ. 예레미야서 개요

 

1부. 예레미야의 소명(1:1-19)

1. 예레미야의 소명(1:1-10)

2. 예레미야의 표적(1:11-16)

3. 예레미야의 확신(1:17-19)

 

2부.  유대에 대한 예언(2:1-45:5)

1. 유다에 대한 책망(2:1-25:38)

1) 예레미야의 첫 번째 설교: 유다의 고의적인 범죄(2:1-3:5)

2) 예레미야의 두 번째 설교: 심판을 받게될 유다(3:6-6:30)

3) 예레미야의 세 번째 설교: 예배드릴 때 유다의 위선(7:1-10:25)

4) 예레미야의 네 번째 설교: 유다의 언약 위반(11:1-12:17)

5) 예레미야의 다섯 번째 설교: 유다의 회복된 관계(13:1-27)

6) 예레미야의 여섯 번째 설교: 유다의 가뭄(14:1-15:21)

7) 예레미야의 일곱 번째 설교: 예레미야의 결혼하지 않은 상태(16:1-17:27)

8) 예레미야의 여덟 번째 설교: 토기장이 집의 표적(18:1-20:18)

9) 예레미야의 아홉 번째 설교: 유다 왕들에 대해(21:1-23:8)

10) 예레미야의 열 번째 설교: 유다의 거짓 선지자들에 대해(23:9-40)

11) 예레미야의 열한 번째 설교: 무화과 두 광주리(24:1-10)

12) 예레미야의 열두 번째 설교: 70년간의 포로기(25:1-38)

2. 예레미야의 갈등(26:1-29:32)

1) 백성과의 갈등(26:1-24)

2) 거짓 선지자들과의 갈등(27:1-22)

3) 하나냐와의 갈등(28:1-17)

4) 스마야와의 갈등(29:1-32)

3. 미래에 있을 예루살렘의 회복(30:1-33:26)

1) 땅의 회복(30:1-24)

2) 백성의 회복(31:1-40)

3) 예루살렘 재건(32:1-44)

4) 언약의 재확인(33:1-26)

4. 현재에 임한 예루살렘의 멸망(34:1-45:5)

1) 멸망 이전의 메시지(34:1-36:32)

2) 멸망 이전의 사건(37:1-38:28)

3) 멸망 당시의 사건(39:1-18)

4) 멸망 이후의 메시지(40:1-44:30)

5) 바룩에게 주는 메시지(45:1-5)

 

3부. 이방인들에 대한 예언(46:1-51:64)

1. 애굽에 대한 예언(46:1-28)

2. 블렛셋에 대한 예언(47:1-47)

3. 모압에 대한 예언(48:1-47)

4. 암몬에 대한 예언(49:1-6)

5. 에돔에 대한 예언(49:7-22)

6. 다메섹에 대한 예언(49:23-27)

7. 게달과 하솔에 대한 예언(49:28-33)

8. 엘람에 대한 예언(49:34-39)

9. 바벨론에 대한 예언(50:1-51:64)

1) 바벨론의 패배(50:1-20)

2) 바벨론의 황폐(50:21-46)

3) 바벨론의 운명(51:1-64)

 

4부. 예루살렘의 멸망(52:1-34)

1. 예루살렘의 함락(52:1-11)

2. 예루살렘의 파괴(52:12-33)

3.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감(52:24-30)

4. 여호야긴 석방(52:31-34)

 


Ⅲ. 예레미야의 소명

 

  다른 선지자들의 소명과 마찬가지로 예레미야의 소명도 하나님과 대화한 결과로 받았다. 예레미야는 많은 거짓 선지자들과 대결하였는데 이때 그의 소명이 하나님에게 직접 왔다는 확신을 갖고 있는 것은 매우 중요했다.

 

   예레미야의 소명    

 

누구를?

어디에서?

언제?

왜?

부르심의 시작은?

예레미야의 대답

하나님이 그를 훈계하신다

하나님이 그에게 능력을 주신다.

힐기야의 아들(1:1)

베냐민 지파의 땅인 아나돗(1:1)

요시아가 통치하던 BC 626(1:2)

민족을 위한 선지자로 임명되었다(1:5)

그가 태어나기 전에 결정되었다(1:5)

어립니다(1:6)

내가 너와 함께 하겠다(1:7-8)

능력의 말씀을 받았다(1:9-10)

  예레미야를 부르신 사건의 극적인 특성은, 하나님께서 임무를 맡기기 위하여 사람을 부르실 때는 임무를 감당할 수 있도록 준비시킨다는 원리에서 절정에 이른다. 예레미야처럼 우리는 자신의 연약함과 한계를 늘어놓을 수 있다. 하지만 하나님은 권능으로 임하겠다고 약속하신다. 예레미야처럼 우리는 두려운 상황을 예상하지만, 하나님의 그분의 구원을 약속하신다. 만약 하나님이 우리를 충분히 도와주시지 못한다면, 임무를 맡기기 위해 우리를 부르시지 않는다.

 

 

Ⅳ. 바벨론의 가나안 침략

 

  바벨론은 BC 612년에 앗수르의 수도 니느웨를 점령했다. 그리고 고대 근동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기 위해 발빠르게 움직였다. BC 605년 갈그미스 전투에서 애굽을 격퇴시키고서 바벨론의 느브갓네살은 가나안을 향하여 진격하였고 다니엘과 같은 중요한 사람들을 바벨론으로 강제 이주시켰다. 유다의 왕 여호야김은 바벨론의 가신이 되었지만 BC 601년 예레미야의 경고를 무시하고 바벨론에게 반기를 들었다. 여호야긴이 BC 597년에 유다의 다음 왕이 되었지만 3개월 후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을 함락시키고 그를 바벨론으로 끌고 갔을 때, 시드기야로 대체되었다. 시드기야는 유다의 마지막 왕이었다. 애굽과 동맹을 맺고자 했던 그의 시도는 느브갓네살이 BC 586년에 예루살렘을 정복하고 무너뜨리는 결과를 초래했다.

 

            바벨론의 가나안 침략  

 

 

 

   예레미야의 애굽 여정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OHS3&articleno=5210&categoryId=40&regdt=20131003154156&totalcnt=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