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개론

최인기 교수

 

구약을 배우면서 구약 성서가 나에게 내려 주시는 하나님의 말씀이라고만 해석해서는 안된다. 구약성서를 통하여 무궁무진하게 역사하신 하나님의 다양성을 찾아볼 수 있어야한다.

   

 

구약성서의 해석에 대한 방법론

1) 영해(Allegorical interpretation)로 성서를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아가서를 제외하고는 모든 성경은 영해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서 구약성서에서 물만 나오면 예수님의 세례라고 하고 불만 나오면 성령과 비유하는 등의 해석으로 그 시대 상황과 성경의 본 의도와는 동떨어지게 해석하는 식의 영해는 피해야 한다.

 

2) 증거-본문 해석(Proof-text interpretation): 마틴 루터 이후의 종교개혁이후에 유행했던 해석법이다.(주제별성경연구) 이 해석법은 오직 성서만으로 해석한다는 것이다. 이 해석법도 옳지 못하다. 그 이후 성서는 성서 자신이 해석해야 한다는 운동이 일어나 증거-본문 해석이 약해지기 시작했다. 이것은 예를 들면 기도라는 제목이 있으면 성서의 기도라고 나온 내용들을 열거해서 내용을 규합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성서가 의도하는 본 뜻이 아니라 주석가나 이곳 저곳에서 뽑은 내용에 의해 성서의 내용이 해석되는 경우가 많다. 벧엘성서연구도 구약과 신약을 오직 그리스도론을 중심으로 해석할려고 하는 Proof-text 방법이라고 볼 수가 있다.

그러므로 본문의 의미가 무엇이고 본문이 어떤 상황에서 백성들에게 주어졌고 그것은 지금 나에게 어떤 교훈을 주는가 하는 것으로 나가야 성서를 폭넓게 이해할 수 있다.

관주성경: 1700년경에 인쇄업자가 만들었다고 하는데 이는 절과 문단과 장이 나눠진 내용이 다르거나 동일한 단어가 나오는 것에 대해 이곳 저곳에 연결시켰지만 그 단어에 대한 신학적 뜻은 모두 다르다. 단어만 같다고 똑같이 해석할려고 한다며 이것을 신학적으로 착취(exploitation)라고 한다. 이는 성경의 내용을 의도적으로 착취한다는 것이다.

 

3) Typological interpretation: 유형론적(교리적) 해석: 구약의제사장, 선지자, 왕 등이 예수님의 삼중직이라고 하고, 어느 정도 신학적으로 이해를 하지만 이것이 성서해석의 중심이 되서는 안된다. 부분으론 받아들일 수 있다.(교리적으로)

 

4) 구조적 해석방법( W.Eichrodt) 개념을 중심으로 해서 어떻게 역사를 통하여 발전되어 왔는가?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이는 계약 개념으로 구약을 보아갔다. 또는 하나님의 나라(오토 밥),

이것의 문제는 하나님의 역사 행동이라는 것이 굉장히 다양한데 하나의 개념 속에 제한시키느냐 하는 것이다.

이상의 방법은 문자주의적 해석 방법이다. 본문의 의도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문자만은 가지고 해석하는 것은 성서의 본 뜻을 알 수가 있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획일성(Uniformity)의 문제가 있다. 성경을 창세기에서 요한계시록까지 꿰어 보겠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이 사용한다.

 

5) 역사적 해석 방법= 본문 중심의 해석방법: 다양성(Diversity)을 추구한다.

삶의 정황 (sitz im Leben=situation in Life)에 맞게 본문을 설정해야 한다. 다양성을 가지고 상황과 의미와 멧세지를 각각 따로 따로 주석해 나가는 해석법이 바로 역사적 해석방법이다. 그리고 앞에 나온 방법들은 이 해석의 보조 방법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

...............................

.

구약개론.pdf

- 이하의 내용은 pdf파일을 열어서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