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샤마니즘과 기독교

 

  . 서    론

수천년 동안 한국민족의 의식구조와 신앙의 패턴 (Pattern)을 지배해 온 것은 불교도 유교도 아닌 무격신앙 혹은 무교 (巫敎)라고 부르는 샤마니즘 (Shamanism)이었다.

이렇게 한국인의 심성에 뿌리깊이 박혀있는 샤마니즘은 이상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샤마니즘은 우선 너그럽다다른 종교나 사상을 핍박하거나 배척하지 않는다그러나 그것을 모두 수용해서 샤마니즘화 시켜 버리는 특별한 기능이 있다자신의 본질은 결코 변하지 않으면서 접촉하는 모든 것을 자기 색깔로 물들여 버리는 힘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제주도의 귤감나무를 북쪽에다 이식시켜 놓으면 죽어버리거나 기형으로 자라거나 열매를 맺더라도 먹을 수 없는 열매를 맺는 것과 같이 기독교의 복음도 그 복음의 씨가 어떤 토양,어떤 기후에 떨어져 자라느냐에 따라 그 성질이 때로는 심각히 달라질 수 있다.

  우리는 한국 기독교의 현실을 냉정히 반성하고 샤마니즘과의 관계에 있어서 어떠한 상호연관성이있는가를 생각하고 서로가 서로에게 준 영향과 장점, 단점을 생각해 보고자 한다.

    

. 한국의 샤마니즘과 기독교

    

    

A. 한국 샤마니즘의 특성

    

샤마니즘은 한국에만 있는 고유의 현상은 아니다그것은 시베리아를 중심으로 몽고, 만주, 한국, 일본등에 널리 퍼져 있으며 특히 시베리아와 중앙아시아에서 우세한 보편적인 종교현상이다. 샤마니즘은 원래 체계적인 교리나 조직을 갖추지 못한 애니미즘(animism)에 연유한 원시종교이다따라서 샤마니즘은 그것을 수용한 지역이나 민족에 따라서 그 특성을 달리하고 있다한국의 샤마니즘은 북방문화권에 속하는 여러 다른 민족의 샤마니즘에 비해서 발달한 형태의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 샤마니즘의 특성은 무엇인가 ? 그 특성을 살펴보면, 첫째, 한국의 샤마니즘은 불교가 들어오기 전부터 수천년동안을 민족과 함께 내려오면서 민족성, 사고방식, 신앙관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그것은 실로 고대로 부터 현대무속에 이르기까지 일관해서 한국문화사 속을 흘러온 역사적 종교현상이다따라서 샤마니즘의 연구는 한국인의 정신구조와 문화의 심층을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공사에 속하는 기초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샤마니즘의 끈덕진 생명력과 놀라운 수용력이다대륙에서 불교, 유교, 도교등의 대종교들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크게 번창하기도 했으나 어느 종교도 샤머니즘을 완전히 제압해 본 일이 없었다오히려 이들 외래 종교가 수용과정에서 샤마니즘에 흡수되어 변형되었던 것이다더구나 놀라운 것은 타종교의 영향을 그렇게 많이 받으면서도 샤마니즘 자체는 변질됨이 없이 발전되었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여기서 샤마니즘의 끈덕진 생명력과 놀라운 흡수력을 발견할 수 있다.”

셋째, 한국의 샤마니즘은 현대문명의 첨단을 살고 있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한국인의 의식구조와 신앙태도를 지배하고 있다는 엄연한 사실이다샤마니즘은 오늘날에도 한국인들의 정신과 생활전반을 지배하고 있는것이다.

     ..................................

.......................................

 

한국의 샤마니즘과 기독교.pdf

 

출처;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