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빈의 신학적 윤리학

    

                                                                                                        안명준 교수 (평택대 신학과)

    

서론

1. 신학적 윤리학

2. 칼빈에게 신학적 윤리학이 있는가?

3. 칼빈의 신학적 윤리학

4. 칼빈의 신학적 윤리학의 원리들

4.1 하나님의 주권의 윤리학

4.2 그리스도 중심의 윤리학

4.3 성령의 지배의 윤리학

4.4 성경 중심의 윤리학

4.5 해석을 중시한 윤리학

결론

    

-----------------------

    

서론

    

오늘날 한국 사회의 상황은 의사들의 집단 이기주의 분출과 성적으로 오염된 타락한 우리사회, 다리와 백화점이 맥없이 무너져 수많은 인명이 죽음과 고통으로 얼룩졌으며,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는 산, 강 그리고 바다, 주차문제로 이웃을 살인하며, 자동차 추월 경쟁 속에서 파멸하는 광기의 자동차 문화가 우리가 사는 삶의 현장의 모습이다.

기독교인들의 삶은 어떤가? 얼마 전 옷 로비 사건으로 인해 전국민이 시청하는 국회 청문회에서 하나님과 성경이 얼마나 많이 오용되었는지 모른다. 현재 한국 기독교인들이 가지고 있는 많은 문제점들을 일일이 거론 할 필요도 없다. 지금 윤리의 문제는 우리 기독교인들의 삶에서 우리를 도전하고 응답하기를 매순간 기다리고 있다.

오늘날 이런 사회의 심각한 상황이 한국 교회에 큰 영향을 끼친 칼빈을 통하여 기독교 윤리를 재점검하게 하는 동기를 갖게 한다. 칼빈이 살았던 제네바 역시 죄인들이 수많은 문제를 보여준 도시였다. 기록에 의하면 로마 카톨릭 신부들과 수도사들이 창녀와 난잡한 여자들 때문에 늘 문제를 일으켰다고 제네바 시의회(Registres du Conseil) 기록에 나와 있다. 또 초기 개신교 목사들도 마찬가지로 1545년 시몬 모로(Simon Moraux)를 비롯한 2명의 목사들이 위그노 여신자와 함께 목욕한 일로 해임되었다. 당시 제네바 역사에 관하여 서술한 내용을 보면 오늘날 우리의 모습과 비슷하다. 당시 제네바 교회의 당회(consistory)는 당시의 부패된 모습속에서 다양한 분야에서 개혁한 것들을 보여 준다. 제네바 컨시스토리는 가혹한 아버지들, 가혹한 채권자들, 고리 대금업자들, 독과점자들, 투기꾼들, 고객을 속이는 상인들, 폭악스런 남자들, 아픈 사람을 보살피지 않는 사람들에 대하여 투쟁했으며 힘없는 사람들에게 유리한 개혁을 시도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런 현실 속에서 칼빈은 하나님의 뜻과 말씀의 절대적이고도 최종적인 권위에 대한 근본적인 확신을 가지고 자신의 윤리를 어떻게 하면 하나님의 뜻을 순종하며 살 수 있는가 하는 실제적인 문제에 관심을 두었다는 것은 우리에게 좋은 도전이 된다.

본 논문은 칼빈의 신학적 윤리학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그의 신학적 윤리학의 원리를 조사함으로써 일반적인 칼빈의 신학적 윤리학의 틀을 보이고자 한다. 논문의 범위는 기독교강요와 그리고 윤리와 관계된 주석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그의 신학적 윤리학의 특징으로서 자기부정, 십자가를 지는 것, 감사, 사랑 등등은 다루지 않았다. 또 윤리학의 다양한 주제로서 노동, 정의, 경제, 생명, 환경, 정치 등등은 개별적으로 다루지 않았다.

......................................

...................................

 

- 이하의 내용은 pdf 파일을 열어서 보세요.

 

칼빈의 신학적 윤리학ㅁ.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