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유의지에 대한 연구 -

    

    

                         * 차     례 *

    

    .서   론                 ‧‧‧‧‧‧‧‧‧‧‧‧‧‧‧‧‧‧‧‧‧‧‧‧‧‧‧‧‧       1

    

    .본   론         ‧‧‧‧‧‧‧‧‧‧‧‧‧‧‧‧‧‧‧‧‧‧‧‧‧‧‧‧‧   2 - 7

       1.어거스틴과 펠라기우스의 자유의지 논쟁    ‧‧‧‧‧‧‧‧‧‧‧‧‧‧‧‧‧‧‧‧‧   2 - 4

        (1)어거스틴의 은총론                      ‧‧‧‧‧‧‧‧‧‧‧‧‧‧‧‧‧‧‧‧‧   2 - 3

        (2)펠라기우스의 자유의지론                ‧‧‧‧‧‧‧‧‧‧‧‧‧‧‧‧‧‧‧‧‧       3

        (3)()펠라기우스주의                   ‧‧‧‧‧‧‧‧‧‧‧‧‧‧‧‧‧‧‧‧‧       4

       2.루터와 에라스무스의 자유의지 논쟁        ‧‧‧‧‧‧‧‧‧‧‧‧‧‧‧‧‧‧‧‧‧   4 - 6

        (1)루터의 노예의지론                      ‧‧‧‧‧‧‧‧‧‧‧‧‧‧‧‧‧‧‧‧‧   4 - 5

        (2)에라스무스의 자유의지론                ‧‧‧‧‧‧‧‧‧‧‧‧‧‧‧‧‧‧‧‧‧   5 - 6

       3.기타 여러 자유의지론                     ‧‧‧‧‧‧‧‧‧‧‧‧‧‧‧‧‧‧‧‧‧   6 - 7

        (1)칼빈의 예정론                          ‧‧‧‧‧‧‧‧‧‧‧‧‧‧‧‧‧‧‧‧‧       6

        (2)웨슬리의 자유의지론                    ‧‧‧‧‧‧‧‧‧‧‧‧‧‧‧‧‧‧‧‧‧   6 - 7

        (3)칸트의 자유의지                        ‧‧‧‧‧‧‧‧‧‧‧‧‧‧‧‧‧‧‧‧‧       7

    

    .결   론         ‧‧‧‧‧‧‧‧‧‧‧‧‧‧‧‧‧‧‧‧‧‧‧‧‧‧‧‧‧       7

                                                             

    

  인간의 삶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질문이 있다. 바로 인간이 그의 삶을 스스로 결정하는가, 아니면 이미 결정된 삶을 그냥 살아가는 것인가 하는 점이다. 만약 스스로 결정한다면 그 결정의 능력이 정말로 있는지, 또 그 관계는 어느 정도이고,결정의 책임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한편, 이미 결정된 삶을 산다면 누가, 왜 결정했으며 이에 대해 인간은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를 알아야 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오늘날에 대두된 문제는 아니다. 옛날 인류역사에서 끊임없이 제기되고 논쟁되었던 것이다. 동양에서는 운명론으로, 서양에서는 자유의지 논쟁으로 나눠질 수 있는데 여기서는 자유의지 논쟁에 대해서만 이야기하고자 한다. 자유의지에 대해서 이야기하면 신앙의 측면으로 그 질문과 답이 요청된다.

  성경이 말하는 자유는 인격적인 자유이다. 신자는 예수님 때문에 죄의 굴레에서 자유로워졌을 뿐만 아니라 성령의 능력 주심으로 말미암아 최상의 결과에 이를 수 있다.그리스도인의 자유는 독립에서가 아니라 주 예수 그리스도께 순종하기를 스스로 선택하는 데에서 발견된다. 성경에 있는 자유의 약속은 우리를 고무해 주는 긍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즉 우리는 그리스도께 순종함으로써 참으로 의롭고도 선한 일을 행함을 통해 인간의 잠재력을 완전하게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자유의지에 대하여 이야기할 때, 한 가지 문제가 제기된다. 바로 사람이 자신의 구원에 얼마나, 어떻게 참여하는가 하는 것이다. 자유의지 논쟁이란 ,첫째가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존재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이고, 둘 째는 이 자유의지가 인간의 범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하는 문제이다. 마지막은 자유의지가 인간의 구원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규명하는 논쟁이다.

  자유의지 논쟁은 5C경의 어거스틴과 펠라기우스의 대립된 교리에서 시작되었다. 펠라기우스는 인간의 책임과 자유의지를 강조한 나머지 자력구원으로 내닫게 되었고 어거스틴은 기독교의 불변하는 진리는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만 구원 얻는 것임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이 논쟁은 교리적인 측면에서 취급되었기에 실제로 인간의 자유의지 자체에 대한 깊이 있고 조직적인 탐구가 결여되어 있다. 그후에 16C 루터와 에라스무스가 자유의지 문제 자체로 논쟁함으로써 학문적인 정립에 기여하였다.

  이제 이들의 논쟁을 중심으로 자유의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

자유의지에 대한 연구.pdf

- 이하의 내용은 pdf첨부파일을 열어서 보세요.

 

출처: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