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M 504: Educational Ministry
- 교육목회 -

Ⅰ-1 교회교육과 신학의 관계
신학(Theology) God와 study의 합성어이다. 그러므로 Theology는 신에 관한 지식이다. Webster 사전에 의하면 신학이란 의미는 종교적 신앙, 실천, 경험에 대한 이성적 해석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신학이란 이해(understanding)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신학은 필연적으로 가르치는 일과 관련되어 있기도 하다.

1. 신학이 교육과의 관계에서의 그 역할은 무엇인가?
1) 신학은 교육에 있어서 근원이 된다.(Theology as Source)
신학은 가르쳐질 내용(context)을 제공하여 교육은 그 내용을 가르치는 배경과 방법에 해당된다.

2) 신학은 교육에 있어서 자원이 된다.(Theology as Resource)
신학은 가르칠 내용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그 자원이며 교육은 선택과 내용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하는 교육목적과 학습이론에 대한 것이다.

3) 신학은 교육에 있어서 그 규범이 된다.(Theology as Norm)
신학은 계시된 진리를 이해한 내용이다. 따라서 신학은 교육의 내용을 스크린하고 가르칠 내용을 결정하게 된다. 교육은 신학의 규범을 토대로 교육의 목적을 세우게 된다. 그 규범이란 결국 신조나 신앙고백들을 말한다.

4) 신학을 연구하는 것은 곧 교육한다는 의미이다.(Doing Theology as Educating)
하나님의 뜻을 깨닫고(신학) 그것을 삶의 현장에서 어떻게 실천할 수 있는가(교육)를 숙고하며 행동하는 것을 말한다.

ex) 해방신학
seeing(말씀과 신학) -> Acting -> Refill Acting

5) 신학과 교육의 상호작용(Theological and Education as Interactive)
신학이 규범적이기는 하나 신앙공동체 안에 내적 권위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교육이라기보다는 포괄적인 사역(Ministry)이라 할 수 있다.

2. 근래의 역사적 발전
1) 1980년대 신학과 교육의 관계에서 이슈
(1) 진보적 교육훈련과 현대교육의 훈련은 자유주의 신학과 맞물려 있다.
(2) 종교교육에는 이때까지 신학이 없었다.
(3) 신학과 교육사이에 새로운 일치를 만들었다.
신학이 기독교교육의 단서(clue)라고 했다. - Randolph Crump Miller(예일대학) 1950년의 책(clue to Christian Education)

2) 1982년대 Jack Seymour and Donald Miller는 5가지 다른 접근 방법들을 설명했다.(Contemporary Approaches to christian Education)
①religious instruction ② faith community ③ developmental ④ liberation ⑤ and interpretation 교육자는 교육내용으로 신학을 선택하고 교육을 위하여 일관된 과정을 선택하도록 하게 한다.

3. 기독교교육의 신학적 기초
모든 교육은 하나의 배경 안에서 생겨나며 명백하거나 암시적인 전제에 기초를 두며 개념 사실 정보의 전달을 교육의 목적가운데 하나로 포함한다. 기독교교육은 유기적이면서도 비조직적인 과정으로서 교육의 내용과 인격적 반응으로서의 신앙의 전달을 시도한다. 따라서 기독교교육자는 교회사가 성서학자는 물론 전문적인 신학자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기독교교육자는 가능한 한 높은 수준의 신학자이어야 한다.
1) 신학과 기독교적 가르침(교수)
(1) 교회는 전해야 할 신앙을 가지고 있다. 이 신앙은 신학적으로 서술되어야 한다.
(2) 신학은 가르침의 과정에 관한 우리의 이해에 영향을 끼친다.
(3) 신학은 방법론에 있어서 기독교교육에 영향을 미친다.
교육방법은 과정에서 생기며 방법과 과정은 신학에서 나온다.

2) 가르침의 장(場, context) - 교회
교육은 하나의 context안에서 발생한다. 교회는 제도적인 교회, 크리스찬의 가족, 판에 박히지 않은 조직 등을 포함하고 있다. context가 건물이 되어서는 안된다.

※ 로저 쉰(Rorger Shinn)
① 교회는 남녀노소를 교회공동체로 이끌어 줄 책임이 있다.
② 교회는 공동체의 유산을 전달하고 신앙의 조직적인 공식(체계)을 알게 할 책임이 있다. ③ 교회는 그 구성원들이 세계 속의 교회가 되도록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3) 계시와 교수과정
(1) 기독교적 가르침은 기독교 신앙의 주어짐(givenness)에서 비롯되며 교수과정은 계시 자체의 본질에 근거한다.
(2) 중요성
a. 1920 -1930년대에 강조된 종교교육의 지배적 경향에서 비롯된다.
b. 오늘날 신학적 경향은 하나님의 자기 계시를 강조하고 있다.
학습자로 하여금 성서의 내용, 기독교 역사 그리고 신학을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다. 더 근본적인 목적은 살아 계신 하나님과 만남을 준비시키고 있다.

4) 기독교적 교수와 인간론
(1) 인간에 대한 이해
교수과정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근본적인 것이다. 인간학과 사회과학의 자료들이 포함된다.
(2) 가르침
만남의 준비만 아니라 만남의 의미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인간은 실제로 하나님과 분리된 존재로 이해할 수 있고 다만 그를 용납해 주시고 새로운 존재로 만드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입는 관계회복의 존재로서 그 잠재성을 지니고 있다.

5) 어떻게 크리스찬이 되는가?
(1) 하나님의 은혜
인간에게 찾아오신 하나님은 인간에게 결단과 헌신과 새로운 생활을 요구한다.
(2) 양육과 가르침
만남과 결단 그리고 헌신을 준비케 한다.

6) 신학과 방법론
(1) 신학
기독교신앙의 주어짐이 인간상황의 주어짐과 서로 교차하고 상호관련성을 발견하려고 시도한다. 즉 인생의 의문들에 대하여 기독교신앙 안에서 그 해답을 찾고자 한다.
(2) 방법론
학습자가 교사와 인격적 만남과 교제 그리고 대화를 통하여 하나님께로 향하도록 교수하는 것이다. 단순한 강의만으로는 비인격적인 차원에 머물 수밖에 없다.
기독교신앙의 조명, 기독교적인 맥락 안에서의 학습이론, 교수 방법론들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독교교육의 교사는 성서학자, 교회사가, 신학자의 대화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일반교육과 관련분야의 전문가와의 대화에도 참여해야 한다.

4. 계시와 성서 그리고 기독교교육
20C 기독교교육은 신앙생활에 있어서 계시의 교리가 성서의 중심에서 재발견 되었다.
1) 계시와 성서의 증거
(1) 계시와 성서
하나님은 신비와 구원 가운데 자신을 계시하셨다. 그 자신을 주신 주권적 하나님에 의하여 생겨나는 믿음의 유일성을 크리스찬으로 하여금 상기토록 하셨다. 고등비평의 성서의 과학적 연구는 성서의 말씀에 중심을 둔 지식을 자연으로 구별시켜서 제시했던 전통적 신앙의 붕괴에 기여했다. 현대 종교교육이 태동한 이 시대는 인간자신과 세계 그리고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인식능력의 혁명에 의한 것이다.
(2) 기독교교육
① 1940년 Harrison Elliott
종교교육이 기독교교육이 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을 제기 했다. 교회가 미리 예정된 내용을 전하려한다면 그것 자체가 교육일 수 있다. 교육에 대한 정의 상 변화, 새로운 진리에의 개방과 성장도 교육에 속한다. 이 교육은 역사적 배경의 지식까지도 포함되어야 한다.
② Lewis J. Sherrill
계시의 진실은 기독교교육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교회의 사역을 위해서도 확정적이라할 수 있다.

2) 학설의 일치성과 다양성
(1) 일치성
1950년대 기독교교육자들의 일반적인 일치는 ①성서에 기록된 대로 역사를 통해 자신을 계시하신 것과 ②초월적인 하나님의 자발적 행동의 필요성을 확신케 하는데 그 기초를 두고 있다.
a. James Barr
①성서 상에 나타난 실제 중요한 요소에 대한 당연한 표현 ②성서의 중심주제로서 수용 ③구약과 신약을 연결시켜주는 중요한 단계를 형성 ④다른 종교들과 구별되는 성서적 신앙을 명백하게 한다.
b. 다른 유사한 개념
①계시는 동적인 특성을 지닌다. ②역사적 사건을 통해 그의 백성에게 자신을 나타내시는 하나님의 활동 ③사건의 의미를 깨닫게 하심 ④구원의 하나님 자신과 교제토록 하신다.
c. 성서의 기록
①사건과 그 의미를 증거 ②하나님의 계속되는 역사의 의미를 이해 ③하나님의 역사에 참여케 하는 도구 ④역사를 넘어 인류를 향한 그의 목적의 완성을 지향한다.
d. 근본주의
①말씀의 증거를 계속 제공한다. ②동의를 요구하는 말씀으로써의 계시이다. ③교리를 바르게 이해하는데 기여한다.
근본주의는 20세기 운동이지만 ①자유주의에 대한 배척 ②정통주의를 위한 탄원으로써 1908년에 시작되었다.
e. 자유주의
①하나님에 관한 인간의 경험의 기록으로써 기능적 용도로 사용. ②일종의 방책으로 사용.
f. 로마 카톨릭
①성서연구에 대한 증대에 관심을 부여. ②성서연구를 개방적으로 행함.

(2) 다양성
a. 내용과 과정
- James Smart와 개혁주의 전통을 고수하는 종파들 - '내용'
- Randolph C. Miller와 미국 성공회 - '과정'
b. 객관적
- 하나님의 자기 계시적 활동
- 하나님의 자신에 관해 나타내신 것
c. 주관적
- 하나님이 자신을 나타내시기 위하여 계속적으로 사용하시는 방법
d. 성서적
- 인간 자신의 구원을 위해 역사 하시는 사실을 인식
- 인간 자신들의 경험 가운데 하나님의 활동의 의미를 인식하게 됨으로써 계시는 완결된다.

(3) 기독교교육의 다른 많은 관심사.
a. 계시(성경의 활동)
- 살아 계신 하나님의 말씀과 대면케 하시기 위함
- 인간적 활동을 사용하심
- 인간이 성령께 반응하는 것을 사유(appropriation)라 한다.
- 교제의 은사는 해석을 위하여 문맥을 제공하고 예배와 사명 속에서 그 자체를 표현한다.
- 반응과 참여는 하나님의 계속적인 역사에 참여함으로써 계시의 실체를 사유(私有)한다.
- 교회는 계시가 사유되어질 모체이다.
b. 성서
- 성서는 시발점이다.
성서는 유일하게 하나님이 인간과 만나기 위해 오시는 통로이다.
- 성서는 본래적이고 명령적인 권위를 지니고 있다.
하나님의 구원적 활동의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성서는 가르치는 권위를 지니고 있다. 계시의 교리가 기독교교육에 대한 현대의 이론적 체계 속에서 행해왔던 중요한 역할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3) 동화(Assimilation)
(1) 일치성과 다양성의 여러 형태
기독교교육자의 성서와 공적인 교과과정 문서들에 대한 연구로부터 얻어진다. 모든 개신교종파의 교과과정향상과 개정에 착수하고 있는 기간동안 교육기관들에 의해 세워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종파들 간의 문제
1872년 이후 통일공과(Uniform Lessons)의 채택과 더불어 성서를 기독교 교육의 원천으로 삼는 체제가 공동적으로 마련되었을 성서의 본질에 대한 이해의 변화와 교리적 해석에 대한 종파적 차이가 있었지만 그 성서가 통일된 대의를 계속적으로 산출해 냈을 것이기 때문에 그 자체로서의 중심적 위치를 고수해 왔음을 엄염한 사실이다.

(3) 1960년대 동화(同化)
종파간의 협력의 변화의 구심점은 국제 교회협의회(National Council of Churches)의 협동교과과정 계획(Cooperative Curriculum Project) 가운데 있으며 이는 다른 기존의 교과과정 작업을 대신한다. 종파간의 다양함의 견지에서 볼 때 계속적으로 동화되어 갈 것이 분명하다.

4) 변모해 가는 상황
(1) 시대의 풍조
계시, 권위 있는 성서, 초월적 하나님에 대한 개념이 오늘날 인간의 자리에 적합한가? 현 세기의 초기에는 이러한 개념이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개념의 현세적 적절성에 관해서는 의문점이 제시되고 있다.
대체로 시대의 풍조는 예전의 경우처럼 계시의 개념의 계속적 우위성에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사실은 진리를 수용하는 가능성에 관한 질문이 전적으로 관련성이 없음을 시사해 준다.

(2) 새로운 진보
진리의 수용(reception)에 관해 언급되었을 때에 사람들을 즉각적으로 성서해석학에 대한 증대되는 관심을 생각한다. "해석학적"이란 단어가 오늘날 신학의 중심적 관심인 '계시'라는 단어를 대신하고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만약 그렇다할지라도 계시의 관념은 없어지지 않는다. 오히려 강조점이 성서적 해석과 의사전달에 놓여져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Ⅰ-2. 교회와 교육의 상관관계와 기독교교육의 목적
1. 교회의 가르침의 기능
1) James Smart
(1) 교회 교육적 사명(Teaching Ministry of the Church)
a. 교회는 가르치는 기능을 가졌다는 가능에 의존하고 있다.
b. 교회는 설교해야 하듯이 가르쳐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교회가 아니다.
c. 가르침은 교회의 본질에 속한다.
d. 가르침이 없는 교회는 그 본질을 잃어버린 것과 같다.
(2) 교회의 말씀사역(Ministry of the Word)
설교와 가르침 두 가지 측면을 강조했다.
a. 구약 - 예언자의 활동, 가정과 회당(Synagogue)에 가르쳤던 선생들(rabbi)에서 찾고 있다.
b. 신약 - 예수그리스도의 사역에서 찾고 있다.

2) 예수그리스도의 사역
(1) 설교와 가르침의 분명한 구분이 어렵다.
(2) 설교만으로 예수그리스도의 사역을 설명하기 어렵다.
(3) 가르침만으로 예수그리스도의 사역을 온전히 이해할 수 없다.

3) 하나님의 말씀에 응답하는 사람들
(1) 그들이 받은 말씀을 선포하는 것
(2) 그 말씀을 가르치는 것

4) 가르침은 무엇인가?(What is teaching?)
(1) 그 자체를 회개하고 하나님께 돌아선 사람의 상태에 주어진다.
(2) 부모들의 영향력을 통해 믿는 사람들의 자녀들의 상태에 주어진다.
(3) 하나님은 하나님의 교회에 가르침과 설교의 기능을 만들어 놓으셨다.

2. 교회란 무엇인가? -> 교육적 관점에서의 교회이해
1) 교회에 대한 다양한 이해
herald(사자), servant(종), institution(조직), congregation(회중)

2) 최근 교회에 대한 이해(the church as a people)
(1) being a people(사람이 되는 것) - 공동체 일원이 되는 것
(2) 예수그리스도의 성육신(incarnation)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 오늘 우리의 몸을 통해 그 말씀은 계속해서 육신이 되고 있다.
(3) 하나님은 특별한 방식으로 살아가도록 부르셨다.
a. 돌봄, b. 관계성, c. 교회사역에 자발적 실천 -> 'pastoral'

3) 교회에서 행해지는 평생교육이다.(A people with an Educational Vocation)
(1) 평생교육
a. 교회교육은 어린이들만을 위한 것이다.
b. 교회교육의 학교화(School)이다.
교육장소 - 학교, 책과 수업계획서, 교육과정-인간의 정신적 활동

(2) 교육에 대한 교회의 이해
a. 하나님을 따르며 목회적 소명을 가진 사람들의 모임으로 이해한다.
b. 모인 사람들의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c. 교육은 사람들이 자신의 소명을 발견하고 더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 '공통적인 하나님의 형상'

(3) 교육은 목회적 소명을 계발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요소이다.
a. 개인 혹은 교역자를 통한 교육시행(어린이-성인)
b. 교회의 권위에 복종하도록 교육


전 신앙공동체가 세상 속에서 사역에 관여 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능력을 배양시켜야 한다.


3. 왜 교육할 것인가? - 기독교교육의 의미와 목적
1) 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질문
(1) 인간사회의 교육적 사명
a.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 - 생활습관과 방법을 전수
b. 가정 -> 부족사회 -> 정치공동체 사회
c. 교육활동
- 인간공동사회를 위한 활동
- 인간사회를 파괴하는 독소
- 한 집단의 세력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
- 개인의 사상을 절대화시키는 도구
d. 교육활동의 방향과 목적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어 옴.

(2) 초대교회 공동체 삶의 구조
a. 예수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에 대한 증인의 삶
b. 공동체의 사귐
c. 예수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과 의사소통(Communication)
d. 연약함과 고난의 짐을 나누어지는 삶(diakonia)
e. 공동체의 삶의 원리 - 예수그리스도의 가르침에 대한 근거(디다케)

(3) 교육의 정의
교육이란 인간행동의 계획적 변화이다. 변화란 생성, 성장, 형성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교육의 중요한 기반 역시 인간이다. 또한 교육의 주체도 인간이다. 교육은 인간의 삶 전체와 관련되어 있으며 인간의 행동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인간의 행동변화는 곧 인간의 삶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a. 인간의 삶의 변화를 추구한다.
b. 의도된 계획을 기초로 인간의 삶의 변화를 기대한다.
c. 인간의 행동의 변화에 중점을 둔다.

2) 기독교교육의 기초
(1) 기독교교육의 기초로서의 복음 - 기독교 교육의 이해
a. 교회활동의 주변적인 일로 취급
b. 보수적교회 - 박제화 된 기독교의 형식적 진리
c. 자유주의 - 세속문화를 기독교와 일치
d. 과제 - 기독교교육의 시작과 확립에 대한 이해

(1) -1 복음
a. 신약성서 - 복음서, 바울 서신에서의 언급
b. 예수그리스도의 복음 - 예수그리스도의 등장, 가르침, 활동, 태도, 약속
c. 기쁜 소식

(1) -2 예수그리스도의 복음
a. 사형선고를 받은 예수그리스도의 복음 - 수치스러운 것(바울)
b. 마가복음 - 등장, 활동과 가르침, 수난과 죽으심, 다시 사심
c. 구원에 이르는 하나님의 능력 - 복음의 능력
d. 기독교 교육의 중심

(1) -3 복음의 내용 - 살롬
a. 완전한 회복 - 희년의 의미
b. 자유와 해방
c. 구원과 치유
d. 하나님나라의 도래

※ 콕스(Harvey Cox) - 샬롬
a. 화해 - 하나님과 인간, 선민과 이방인
b. 자유 - 양심과 율법으로부터 자유, 죄와 죄의 결과로부터 자유
c. 희망 - 완전한 회복

(2) 기독교와 삶의 변화
(2) -1 인간의 변화
a. 교육적 주제
b. 구원론적 주제 - 회개, 중생, 삶의 변화

(2) -2 교육
a. 인간 행동과 삶의 변화 계획
b. 해 아래 모든 것 - 새것이 없다.
c. 새것 - 오직 예수그리스도의 부활사건

(2) -3 성경
a. 예수그리스도의 부활사건과 부활신앙 - 교육의 주제
b. 부활의 확신 -> 인간의 삶의 변화 - 공동체의 변화 - 역사의 변화

(2) -4 새로운 인간
a. 예수그리스도의 부활을 확신 - 새로운 존재에 대한 확신
b. 새 인간에 대한 희망 - 변화를 추구(신앙의 눈)
c. 부활신앙 - 죄, 부패를 멀리한다.

(3) 성경이 말하는 인간 상
(3) -1 하나님의 형상
a. 하나님과의 사랑의 관계 - 적극적인 의사소통
b. 주체적인 존재 - 이성적 능력, 자유의지

(3) -2 기독교교육의 열쇠 - 인간이해
a. 신성한 주권적 존재 - 창조된 인간
b. 무책임과 타락 - 타락한 인간
c. 하나님과의 단절 - 영적 죽음
d. 자신과 이웃과의 단절 - 미움, 살인

(3) -3 인간의 회복과 삶의 변화
a. 기독교의 신앙 - 회복
b. 신앙에 기초한 인간의 변화

(3) -4 기독교교육의 다양한 시도
a.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인간
b. 타락한 존재로서의 인간
c. 예수그리스도 안에서 인간의 회복이 약속된 인간
- 인간회복과 인간의 삶의 변화 - 기독교교육의 다양한 시도
- 전도주의적 부흥운동 - 단번의 회개를 시도
- 개혁교회의 전통 - 내적인 변화를 기대/ 교육과 훈련을 중시한다.

3) 하나님에 대한 신앙응답으로서의 교육
(1) 삶의 변화를 목표로 하는 신앙교육
(1) -1 삶의 변화
a. 반드시 하나님께로 돌아서야만 하는 존재
b. 인간다운 삶으로 회복가능

(1) -2 기독교신앙
a. 예수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계시 - 자신을 드러내심
b. 예수그리스도를 통한 자신의 평안을 얻게 하심 - 구원의 확신

(1) -3 기독교교육의 목적
a. 믿음으로 하나님과 관계를 형성
b. 신앙의 관계 - 기독교교육의 기초
c. 하나님의 뜻과 부르심에 대한 응답

(1) -4 기독교교육의 중심
a. 신앙교육
b. 신앙체계의 확립
c. 하나님과 세상에 대한 이해, 수용, 분별
개혁교회 -> 말씀과 성례전, 구원활동을 위한 성령의 도구(신자)
(2) 신앙교육의 과제
(2) -1 신앙에 대한 개념
a. 행동 - 하나님과 인간, 인간과 인간
b. 삶의 양식 - 습득된
(2) -2 Thomas Grooms
a. 믿음의 확신 - 진리에 대한 확신
b. 신뢰 - 예수그리스도 안에서 구원하시는 하나님
c. 관계 - 하나님과의 관계회복, 하나님의 뜻을 실천하는 사랑, 행동하는 신앙
(2) -3 기독교 신앙교육의 과제(Thomas Grooms)
a. 하나님의 선물(엡2:8) - 성장케 하시는 하나님(고전3:7)
b. 신앙전통의 교리적 표현을 교육
c. 신뢰는 영적성장을 위한 양육과 사귐 그리고 선한 의지를 증진시킬 과제가 있다.
d. 하나님나라의 은혜에 참여 - 하나님의 명령에 순응
e. 전 인격과 전 생애 - 해당

4. 기독교교육의 목적들의 설정
1) 기독교교육의 목적
(1) 신앙공동체 형성을 위한 교육
(2) 신앙공동체 교육론 - 세계참여
(3) 하나님나라를 위한 기독교교육
(4) 하나님과 세계를 위해 축하하는 교육 - 하나님의 선교에 근거

2) 교육 목표들(교육과정)
(1) 하나님, (2) 예수그리스도, (3) 예수그리스도를 닮은 인격, (4) 기독교적인 사회질서, (5) 교인이 됨, (6) 기독교 가정, (7) 기독교적인 인생관, (8) 성령과 그 밖의 자료들...


* 비스(Paul Vieth) 이후 리들(Lawrence Little)은 성령의 인도 하에 기독교교육이 힘써야할 영역들(5 가지) 열거함 -> NCC의 기독교교육 목적들 수정.
① 잠재력 인식 - 그리스도께 헌신 - 그리스도인의 성숙을 향하도록 도와 준다.
② 사회적 책임과 역할 수행 - 가정, 교회, 이웃, 집단에 대한 기독교적관계 수립 - 하나님의 사랑의 대상.
③ 자연계에 대한 이해와 인식 - 가치인정과 보존 그리고 책임
④ 성경에 대한 이해와 인식 증진 -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 - 기독교유산 속의 다른 요소들에 대한 효과적으로 이용해야한다.
⑤ 교회의 국내와 선교에 참여 - 기독교적친교 속에서 역할을 발견하고 수행해야 한다.


A. 미국교회의 협동 교육과정 기획(Cooperative Curriculum Project)을 작성 - 큰 영향

B. 1972-1980년 완성 총회교육부가 주도한 교육과정 성서와 생활 -> 1981년 말씀과 삶(유치부~고등부) : Paul Vieth와 Lawrence Little의 목적들의 결합과 선택/ 포괄적이고 단일성을 지니고 있다.

 

http://www.kidok.net/bbs/view.php?id=education&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794&PHPSESSID=7f709d0fd54eeb3094c2d0dd51c02a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