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릴리 호수의 고기잡이

죠지 캔스데일(GEORGE CANSDALE)


아카바만에서부터 갈라져 올라온 깊은 골짜기의 북쪽 끝 부분에 자리잡고 있는 갈릴리 호수는 그 표면이 해수면보다 680피트 정도 낮고 가장 깊은 곳이 150피트 정도에 달하는 바 세게에서 가장 낮은 민물호수이다. 어떤 시기들에는 이스라엘이 그 호수 전역에 대한 지배권을 갖고 있었는데 구약성경이 단지 세번만,그나마 각각 경계선을 표시할 목적으로, 언급하고 있음은 놀라운 사실이다.

 

 

갈릴리 호수의 고기잡이

 

비록 여러 저작자들이 사용한 수 많은 히브리어 전문용어들에 의해서 고기잡이의 중요성이 드러나고는 있다. 하더라도 긴네렛 혹은 게네사렛이 고기가 풍부한 호수로 묘사되고 있는 것은 신약에서 뿐이다. 복음서의 많은 기사들이 이 호수를 무대로 하고 있고 또 그리스도의 사역도 이 호수 북쪽의여러 읍과 동네들에 근거를 두고 있었다. 제자들 중에 적어도 일곱은 이 호수의 어부출신이었고 이 사실은 고기잡이에 강조점이 놓여 있는 이유를 일부 설명해 준다. 예수님을 배척한 읍들 중 하나요, 또 베드로와 안드레와 빌립의 집이 있었던 벳새다는 "그물의 곳"혹은 "어업"을 의미하였다. 지금도 작은 수효로 잡히고 있는 바 신약시대 이후로 알려진 두 종류의 물고기를 제외하면 오늘날 그 호수의 물고기들은 다 베드로와 그의 동료들이 알고 있었던 종류들이다. 이 호수의 본토어종은 대략 25종에 달하나 그 중 중요한 것은 불과 몇 안 된다. 가장 이름이 난 것은 "성 베드로의 고기"로 알려진 틸라피아(Tilapia)종으로서 성경시대에 주로 많이 잡히던 것이 바로 이 종류였을 가능성이 있다. 그 당시의 총 어획고가 얼마나 되었는지는 알 길이 없으나 오늘날 과학적인 장비를 사용해서 건져 올리는 탈라피아의 연간 총 어획고는 대략 300톤에 달하고 그 밖의 종류는 대략 1,000톤에 달한다. 이 총 어획고 중에서 복잡한 현대장비로 밤에 건져 올리는 정어리(Aca- nthobrama terrae sanctae)는 무려 800톤에 달한다.

요단 골짜기를 따라 북쪽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긴네렛 호수면보다 900피트 가량 더 높은 "훌레"라고 하는 상류 호수가 나오는데 여호수아 11:5에는 "메롬 물"로 언급되어 있다. 그 당시에는 훤히 트인 호수였으나 오랜 세월에 제대로 가꾸지 아니한 주변 산들에서 깎여 내린 퇴적토로 점차 메꾸어져서 일련의 늪지와 연못들로 변하였다. 그러나 1950년대에 그 전 지역을 매립하여 농지로 바꿀 때까지만 해도 그 곳 연못들에서는 많은 고기가 잡혔다.

 

비록 구약성경이 고기와 고기잡이에 대해서 거의 언급하고 있지는 않다. 할지라도 선지서들은 우리가 고기잡이 방법들에 관하여 어떤 암시들을 얻어낼 수 있는 많은 용어들을 사용하고 있다. 히브리어 레쉬드(resheth)는 그물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또 에스겔 32:3의 문맥은 그 용어가 어떤 고기떼나 특별한 고기를 잡기 위해서 던지는 투망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암시해준다. 케렘(cherem)은 훨씬 더 큰 그물로서 어쩌면 오늘날에 흔히 사용하는 예인망(후릿그물)과 비슷하였을 것이다.(아래 헬라어 싸게네(sagene)부분을 보라).히브리어 마크모르(makm- or)와 미크마르(mikmar)도 역시 큰 그물들을 가리키는데 이사야 19:8과 하박국 1:15-16에서는 "그물"과 "저예망"(A.V.),혹은 "예인망"(R.S.V.), "저인망"(N.E.B.) 등 (한글개혁판은 일반적으로 "그물")으로 번역되고 있다. 이 그물은 또한 아라비아산 오릭스(Oryx,영양의 일종)을 잡기 위해서 광야에 쳐두기도 했다.

 

 

갈릴리 호수에서 투망을 던지는 모습

 

복음서들에 나오는 헬라어 용어들은 대부분 문자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딕튀온(Diktuon)은 일반적으로 그물을 가리킬 수가 있다.예, 마태복음 4:20,"(베드로와 안드레가)곧 그물을 버려두고 예수를 좇으니라." 그들은 방금 투망을 던지고 있었다. 직업적인 어부들로서 그들은 한 조의 표준 그물들을 다 갖고 있었을 것이 틀림없다. 이 일반적인 용법은 그들의 그물들을 씻고 깁는다는 언급들에서도 역시 찾아 볼 수가 있을 것이다. 오늘날에는 속건성의 인조섬유로 된 실을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어서 그것을 씻고 말려서 수선하는 일이 훨씬 더 간편해졌다. 닥튀온은 또한 오늘날 자망으로 부리우는 것과 같은 보다 특별한 그물을 의미할 수도 있다.

 

베드로와 안드레가 가지고 있던 그물은 오직 이 사건에서만 언급되고 있다. 그 말은 헬라어로 암피블레스트론인데 보통은 지금도 어떤 열대지방, 특히 얕은 물가나 작은 호수에서 사용되고 있는 투망과 같은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이 투망은 원모양으로 되어 있고 끝 부분에 돌아가며 작은 주들이 달려 있으며 한 가닥을 어깨에 걸치고 나머지 부분을 한 손으로 추려잡은 다음 몸을 돌리면서 물 위에 원을 그리며 평평히 퍼지게 던진다. 끝에 달린 추들은 그물을 신속히 바닥에 가라앉게 한다. 일단 가라앉으면 그물 중심에 연결된 줄을 서서히 잡아다녀서 그 안에 갇힌 고기들을 건져 올린다. 오늘날에는 단순히 옛적에 고기잡이 방법을 보여주기 위하여 갈릴리 호수에서 이따끔식 이 투망을 던지고 있다.

 

헬라어 싸게네는 마태복음 13:47에 단 한번만 나오는데 그 곳에 보면 천국이 그물에 비유되고 있다. 이 그물은 이제 일반적으로 길이가 수백 피트에 달하는 예인망으로 간주된다. 그러한 그물은 온갖 종류의 크고 작은 물고기를 다 몰아잡을 수가 있다. 따라서 비유에서 지적되고 있는대로 일단 잡은 고기는 좋은 것과 못된 것으로 가려진다.

 

http://kcm.co.kr/bible/mar/mar00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