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내 기독교 공동체들

라틴과 합동 동방 카톨릭 교회

비아 돌로로사
 
 
로마와 콘스탄티노플의 관계에 관계 없이, 십자군 시대가 때까지 정교회 총대주교구와 무관하게 성지에 서방교회를 설립하려는 시도는 없었습니다. 1099년부터 1291년까지 예루살렘의 라틴 총대주교구가 존재했습니다. 그후 1847 사무소가 재구성되었습니다. 그때까지 현지 교회에 대한 책임은 14세기 이후 라틴 성지의 관리자 역할을 프란체스코 교회에 있었습니다.


현재
예루살렘 라틴교회는 총대주교가 이끌고 있으며 주교 대리 3(나사렛과 암만, 구브로에 거주) 보좌를 받습니다. 이스라엘 공동체 규모는 20,000(웨스트뱅크와 가자 지구 10,000 명과 함께)입니다. 이스라엘 거주 교인 가운데 5,000명은 동예루살렘에, 4,500명은 나사렛에 거주합니다. 팔레스타인 지역 최대 공동체는 베들레헴과 라말라에 있습니다.

 

마론파 교회는 시리아에 기원하는 기독교 공동체로, 대부분 레바논에 거주합니다. 마론파 교회는 1182 이후 로마 카톨릭 교회에 정식 편입되었으며, 정식 카톨릭에 속하는 유일한 동방교회입니다. 합동 동방 카톨릭 교회로(로마와 종파가 같은 동방교회이지만, 독자적인 언어와 의식, 교회법을 유지함), 본질적으로 시리아 언어로 안티오크 전례인 자체 예배법이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마론파 공동체는 7,000 명으로 대부분 갈릴리에 거주합니다. 예루살렘의 마론파 총대주교구는 1895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리스 멜키트 카톨릭 교회는 안디옥 그리스정교회 분파 결과 1724 시작되었습니다. (‘멜키트용어의 기원은 4세기부터 시작되었으며, 공의회 신앙 정의를 인정하고 콘스탄티노플 제국 같은 종파에 속한 현지 기독교인들을 뜻합니다.) 그리스 카톨릭 주교관구는 1752 갈릴리에 개설되었습니다. 20 , 예루살렘 그리스 카톨릭은 안디옥 멜키트 총대주교 관할이 되었으며, 총대주교고 대리가 예루살렘을 대표하고 있습니다. 그리스 카톨릭 갈릴리 주교관구의 인구는 50,000명이 넘습니다. 웨스트 뱅크와 자파, 가자, 시나이, 기타 지역을 포함하는 예루살렘 관구는 3,000명이 됩니다.

 

단성론의 시리아 정교회에서 분리한 시리아 카톨릭 교회는 1663년부터 로마에 편입되었습니다. 시리아 카톨릭은 자체 총대주교가 있으며(베이루트 주재), 1890 이후 예루살렘의 총대주교 대리가 250 명에 달하는 예루살렘과 베들레헴의 소규모 공동체의 영적 지도자로 재임해 왔습니다. 1985, 공동체는 예루살렘의 총대주교구 교회를 신축하여 시리아와 인도의 사도인 도마에 봉헌하였습니다.

 

1741 아르메니아 정교회에서 분리한 아르메니아 카톨릭 교회는 기존에는 길리기아(아나톨리아 남부) 아르메니아 공동체였지만 십자군 시절 이후 로마와 접촉해 왔습니다. 아르메니아 카톨릭 총대주교는 베이루트에 주재합니다. 당시 오스만 당국이 콘스탄티노플 주재를 금지했기 때문입니다. 예루살렘의 총대주교구 대리 관구는 1842 설립되었습니다. 성지의 아르메니아 카톨릭 공동체는 1,000 남짓으로, 예루살렘에 200명이 거주하고, 하이파와 나사렛, 라말라에 흩어져 있습니다. 로마에 통합되었지만, 아르메니아 정교회와의 관계도 돈독하며 공동체 전체의 이익을 위해 서로 협력하고 있습니다.

 

콥트
카톨릭 교회 1741 이후 로마에 통합되었지만, 1955년에야 알렉산드리아 콥트 카로릭 총대주교는 주교 대리를 예루살렘에 임명했습니다. 현재 신도는 30명입니다.

 

칼데아 카톨릭 교회는 고대 네스토리우스(앗시리아) 교회의 후손입니다. 구성원들은 아직 예배 언어로 고대 시리아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교회는 1551 설립되었으며, 총대주교는 바그다드에 주재하고 있습니다. 성지 공동체는 가구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칼데아 카톨릭 교회는 '공인된종교 공동체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1903년부터 비주재 주교 대리가 예루살렘의 칼데아 사람들을 대리해왔습니다. 예루살렘 카톨릭 교회에 중요한 것은 1993 12 30 교황청과 이스라엘이 정식 외교 관계를 수립한다는 협정이 조인된 사실입니다.

 

프로테스탄트 교회

비아 돌로로사
 
 
중동의 프로테스탄트 공동체의 기원은 19세기 서방 선교사의 성지 재발견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이들 선교단의 목표는 무슬림과 유대 공동체에 전도하는 것이었지만, 아랍어권 정교회 교인들에 대해서만 성공했을 뿐입니다.

 

예루살렘과 중동(성공회) 예루살렘 성공회는 1841, 대주교관구는 1957 설립되었습니다. 1976 1, 총대주교관구가 막을 내리고 예루살렘과 중동에 주교 관구를 새로 만들었으며, 최초로 아랍 주교를 선임하여 서품을 내리는 중대한 변화가 단행되었습니다. 예루살렘에는 2,000명의 성공회 신도가 있으며, 프로테스탄트 공동체로는 최대 규모입니다. 이스라엘에는 예루살렘과 하이파, 자파, 크파르, 야시프, 로드, 람레, 유시페야, 나사렛 등에 소규모 성공회 공동체가 있습니다. 예루살렘 성공회 주교는 예루살렘 성조지대성당에 재직하고 있습니다.

 

예루살렘과 중동 감독교회는 1906 설립되었습니다. 1946년에는 요르단에서 독립된 교회로 공인되었으며, 1966년에는 비아랍 성공회 교인의 자율 단체인 이스라엘 성공회 신탁이 설립되었습니다. 단체는 자파와 유시피야, 허슬리야, 피투아크, 예루살렘에 센터와 교회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예루살렘 루터교회의 기원은 1841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영국여왕과 프러시아 왕은 예루살렘에 합동 프로테스탄트 감독 관구를 설립하기로 결정했습니다. 1886, 영국와 독일 관구가 분리되었습니다. 독일 교구에는 아랍어권 신도가 늘었습니다. 1979 이후, 아랍어권 신도는 자체 주교를 두고 있으며, 교회 모두 올드 시티 교회 부지에서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아랍 공동체 신도는 500 , 독일 신도는 200 규모입니다.

 

독일 루터파 재산은 1939 영국에 몰수되었으며, 1951 독일연방공화국과의 배상협정의 일환으로 이스라엘 정부에서 매입하였습니다.

 

1982, 노르웨이 선교단은 하이파와 자파에 있는 선교회 권한과 운영을 현지 신도에게 이전하였습니다.

 

예루살렘
침례교회 1911 나사렛 교구 설립으로 시작되었습니다. 현재 침례교회협회는 에이커와 아스겔론, 가나, 하이파, 허슬리야, 에일라번, 자파, 예루살렘, 크파르, 야시프, 나사렛, 네타니아, 페나크 티크바, 라마 투란, 야피아 등지의 교회로 구성됩니다. 텔아비브에 센터도 있습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지역의 교인은 1,000 명입니다.

 

스코틀랜드교회(장로교회) 1840 처음 갈릴리에 선교단을 파견했으며, 100 동안 교육과 의료분야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현재 순례자와 관광객을 상대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규모 이주민 공동체인 스코틀랜드 교회는 예루살렘과 디베랴와 교회와 게스트하우스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독자적인 단체인 에든버러 의료선교협회는 나사렛에 간호병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교회(오순절교회) 예루살렘과 나사렛, 팔레스타인 지역에 작은 공동체를 유지하고 있으며, 감람산에는 국제센터가 있습니다. 이스라엘에서는 많은 오순절교회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집회, 하나님의 교회, 성서하나님의교회, 초석교회, 치유의 목소리(민족의 그리스도) 등이 있습니다.

 
프로테스탄트
농업공동체 정착지 최근 동안 이스라엘 각지에 설립되었습니다. 페타크 티크바 북쪽 크파르 하밥티스팀(침례교 마을) 1955 설립되었으며, 농업 외에 침례교인을 비롯한 전국 프로테스탄트 공동체를 위해 회의와 하계 캠프 시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나하리야 인근 네스 아밈은 전국 네덜란드와 독일 프로테스탄트 공동체가 연합하여 설립했습니다

나하리야
인근 네스 아밈은 1963 네덜란드와 독일 프로테스탄트 공동체가 이스라엘의 기독교 이해를 증진하기 위한 국제센터로 설립하였습니다. 예루살렘 서쪽, 1971년에 설립된 야드 하시모나는 핀란드의 기독교 방문객과 순례자를 위해 게스트하우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시설 외에도, 이스라엘에는 규모가 작지만 다양한 프로테스탄트 그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몰몬교) 1886 하이파, 1972 예루살렘에 소규모 공동체를 설립했습니다. 이스라엘 교회 신도는 200명이며, 유타주에 있는 브리검영대학교 분교인 예루살렘근동연구센터에서는 170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습니다. 해외 기독교인들은 이스라엘과 수도 예루살렘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연구센터는 전세계 기독교인들이 조국과 현대 국가인 이스라엘에 대한 성서적 이해를 얻는 곳입니다. ICEJ 국제 네트워크는 전국 각지에 사무실과 대표를 두고 있습니다.

 

종교와 성지

기독교 성지

종교의 자유


종교 다원주의에 대한 이스라엘의 기본 태도는 1948 독립선언에 표현되었습니다.


이스라엘은
이스라엘의 선지자들이 꿈꾼 자유와 정의, 평화를 기반으로 것이다. 이스라엘은 종교나 인종, 성별에 관계 없이 완전한 사회정치적 권리의 평등을 국민에게 보장할 것이다. 이스라엘은 종교와 양심, 표현, 교육, 문화의 자유를 보장할 것이다

문서는 구가의 비전과 신앙고백을 표현하고 있으며, 이러한 원칙에 대한 준수는 법률로 보장되었습니다. 종교 단체는 신앙을 실천하고, 자체 성일과 휴일을 지키며, 자체 내부 행사를 운영할 자유가 있습니다.


 성지


이스라엘은
3 일신교(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성지로 여기는 곳이 많이 있습니다. 성지에 대해서는 접근과 예배의 자유가 보장됩니다.


성지는 각종 종교 구성원이 신성시하는 곳에 대한 접근의 자유나 성지에 대한 신도의 감정을 해칠 가능성이 있는 신성모독과 기타 위반 행위로부터 보호한다.”(성지보호법. 1967).

 


공동체
자치권


기독교
공동체는 자유의사에 따라 이스라엘의 각종 종교 공동체 가운데 가장 자율적인 공동체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독교 공동체도 전통적인 독립성을 훼손하지 않고 자체 사회 복지와 의료, 교육 제도를 국가 구조에 통합하려는 추세가 늘고 있습니다.

공동체의 의식을 준수할 책임이 있지만, 종교성은 기독교 공동체의 종교생활에 대한 간섭을 의도적으로 자제하고 있습니다. 종교성의 기독교공동체부는 기독교 공동체 이상이 권리와 특권을 갖는 성지에 확립된 현상 속에서 소수자인 상황에서 발생할 있는 문제와 요구사항을 문의할 있는 정부측 교섭 사무소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공인된공동체


특정
기독교 종파는 공인된종교 공동체의 지위를 갖추고 있습니다. 오스만 시대에서 기인하는 역사적인 이유로 인해, 해당 공동체의 교회재판소에 대해서는 혼인이나 이혼과 같은 개인의 신분 문제에 대한 관할권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현재
, “공인된기독교 공동체는 그리스 정교회, (멜키트) 그리스 카톨릭, 라틴, 아르메니아 정교회, 시리아 카톨릭, 칼데아 카톨릭, 마론파, 시리아 정교회, 아르메니아 카톨릭 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