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인의 소망

- 에베소서 3:14-21 -

샬롬선교회 


[에베소서 3:14-21] "14. 이러므로 내가 하늘과 땅에 있는 각 족속에게 15. 이름을 주신 아버지 앞에 무릎을 꿇고 비노니

16. 그의 영광의 풍성함을 따라 그의 성령으로 말미암아 너희 속사람을 능력으로 강건하게 하시오며 17. 믿음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께서 너희 마음에 계시게 하시옵고 너희가 사랑 가운데서 뿌리가 박히고 터가 굳어져서 18. 능히 모든 성도와 함께 지식에 넘치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알고 19. 그 너비와 길이와 높이와 깊이가 어떠함을 깨달아 하나님의 모든 충만하신 것으로 너희에게 충만하게 하시기를 구하노라. 20. 우리 가운데서 역사하시는 능력대로 우리가 구하거나 생각하는 모든 것에 더 넘치도록 능히 하실 이에게 21. 교회 안에서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영광이 대대로 영원무궁하기를 원하노라. 아멘"

 

서언

 

[로마서 15:13] "소망의 하나님이 모든 기쁨과 평강을 믿음 안에서 너희에게 충만하게 하사 성령의 능력으로 소망이 넘치게 하시기를 원하노라."

+ 에베소 성도에게 보낸 편지에는 2가지의 기도가 있습니다. 하나는 제1장에 있는 것으로, 바울은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 세운 구원의 위대하고 장대한 계획에 대해 쓴 후에, 에베소 성도들이 그리스도의 영광스러운 부요의 풍요로움에 대해서도 알 수 있도록, 또 하나님의 힘이 얼마나 절대적인지를 '한 사람 한 사람이' 알 수 있기를 기도했습니다.

다른 하나는 제3장에 있는 것으로, 개별적이지 않고 모든 성도와 함께 그리스도의 사랑의 넓이, 길이, 높이, 깊이가 어느 정도인지 그 지식을 훨씬 넘어선 그리스도의 사랑을 알 수 있도록[즉 공동체로서 그 사랑을 경험할 수 있도록] 기도하고 있는 것입니다. 더욱이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공동체를 세우기 위한 소중한 기도'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1. 모든 가족의 원천인 아버지 [본문, 14-15]

 

(1) 바울을 바꾼 다메섹에서의 경험

+ 사도행전에 세 번 기록되어 있는 바울의 회개의 기사에서 부활하신 예수님은 사울아, 사울아, 왜 나를 박해하느냐라고 그에게 말씀하셨습니다(9:4, 22:7, 26:14). 이 말씀은 부활의 그리스도께서 그분과 교회를 동시하고 끊어도 끊을 수 없는 관계에 있음을 바울에게 인식시키기 위함이었습니다.

이미 정해져 있던 바울을 위한 계획을 다메섹에서 말씀하셨습니다. 주님은 다메섹 성도 아나니아를 통해 바울이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일러주셨습니다. 그것은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의 증인이 되어 땅 끝까지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것이었습니다.

 

+ 여기서 주목하고 싶은 것은 갈 바를 알지 못하고 어둠 속에 있던 바울의 곁에 주께서 아나니아를 보내어 형제 사울아 ... 예수께서 나를 보내어 너로 다시 보게 하시고 성령으로 충만하게 하신다."라고 말하며 바울의 머리에 손을 얹은 것이었습니다. 사울은 이 말씀으로 인해 자신이 저지른 죄를 용서받고, 주님의 공동체 안으로 받아들여진 것을 경험한 것입니다. 이 경험은 바울의 생애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경험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바울 곁에 주께서 아나니아를 보내심으로써 그는 그리스도를 토대로 한 성도들의 사랑의 교제를 접하게 된 것입니다. 심지어 나중에 바나바는 바울을 안디옥 교회의 교사로 소개하고 그 일로 이끌었습니다.

 

(2) 모든 가족의 원천인 아버지

+ "하늘과 땅에 있는 각 족속(가족/新改訳)에게 이름을 주신 아버지" .... 너무 긴 이름 같지 않습니까? 1장에서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인데, 여기서는 "하늘과 땅에 있는 각 족속에게 이름을 주신 아버지"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어떤 이는 이렇게 말합니다. '아버지'는 그리스어로 '파테-'(πατρ). '가족'이라고 번역되어 있는 그리스어는 '파트리아'(πατριά), '파테-', '파트리아'라는 두 말은 본래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말입니다. , 가족이란 단순한 가족이 아니라 본래 명확한 부권(父権)에 의해 존재하는 가족이라는 면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성경적인 가족(가정)이란 부권에 속한 가족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2. 바울의 기도 [본문, 16-22]

 

+ 모든 가족의 근원이신 분 앞에서 어떻게 기도하고 있는지 주목합니다.

16절 말미의 "능력으로 강건하게 하시며" 17절 중앙의 "마음에 계시게 하시고" 19절 중앙의 "어떠함을 깨달아" 19절 말미의 "충만하게 하시기를" 22절의 "영광이 대대로 영원무궁하기를"

 

(1) "너희 속사람"의 해석

+ 16절의 "너희 속사람"이란 무엇입니까? '속사람'이라는 표현은 신약성경에는 여기 외에 두 곳 밖에 없습니다. 로마서 7:22 "내 속사람으로는 하나님의 법을 즐거워하되" 고린도서 4:16 "우리의 겉사람은 낡아지나 우리의 속사람은 날로 새로워지도다.“

고린도후서에서 생각해 보면, 속사람은 겉사람과 비교하여 내면적인 사람, 마음이나 영혼이나, 영적인 면의 부분으로 해석됩니다. 로마서에서 생각해 보면, 속사람이란 성령에 의해 새롭게 태어난 사람으로 해석합니다. 그런데 에베소서에는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속사람이란 예수 그리스도를 의미합니다.

 

(2) "그리스도께서 너희 마음에 계시게"라는 것은?

+ '계신다'는 것은 들락날락하거나 저쪽으로 가거나 이쪽으로 오거나 하는 것이 아니라 앉아서 정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스도께서 우리 마음에 정주해 주신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어떠한 일입니까?

예수 그리스도가 우리 안에서 지배적이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 a. 그리스도의 평화가 우리의 마음을 지배치하는 것. b. 그리스도의 말씀이 우리 가운데 풍요롭게 거하는 것.

적은 자들을 영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너희가 여기 내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마태복음 25:40) 그리스도의 사랑에 뿌리를 둔 발걸음을 내딛는 것을 말합니다.

 

(3) 모든 성도와 함께 아는 것의 소중함

+ 옆에 있는 사람을 사랑할 수 없는 그리스도인이 어떻게 관계가 희박한 이웃 사람들을 사랑할 수 있을까요? 주님 안에서 교회의 형제자매들 사이에, 주님의 제자들 사이에 사랑이 불타는 일 없이 어찌 세상에 좋은 소식이 전해져 갈 수 있겠습니까? 사도 바울에게 사랑의 교제는 전부였습니다. 그러므로 그의 편지는 교제하는 것으로 가득 차 있는 것입니다. 우리를 주 예수 그리스도와 결합시키고, 또 동시에 성도들을 교제하게 하고, 유대인과 이방인을 결합하고, 지방의 교회를 굳게 결합하는 것, 거기에 바울의 중재기도의 목적이 있었습니다.

 

결언

 

+ 모든 가정의 근원이신 하나님은 그리스도의 사랑을 그의 가족의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더하여 주시는 분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도 바울의 기도에 이끌려 그리스도께서 우리 마음에 풍성하게 계시게 하시고, 그리스도의 사랑 가운데서 뿌리가 박히고 터가 굳어져서 지식에 넘치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모든 성도들과 함께 경험할 수 있도록 기도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