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심하지 아니하며

- 고린도후서 4:6-8 -

 샬롬선교회 


[고린도후서 4:6-8] "6. 어두운 데에 빛이 비치라 말씀하셨던 그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의 얼굴에 있는 하나님의 영광을 아는 빛(知識/新改訳)을 우리 마음에 비추셨느니라. 7. 우리가 이 보배를 질그릇에 가졌으니 이는 심히 큰 능력은 하나님께 있고 우리에게 있지 아니함을 알게 하려 함이라. 8. 우리가 사방으로 욱여쌈을 당하여도 싸이지 아니하며 답답한 일을 당하여도 낙심하지 아니하며"

 

서언.

 

+ 우리 주변에는 용기를 잃고, 모든 것을 내던져버리고 싶게 만드는 현실이 얼마나 많습니까. 흥망성쇠가 심해 비참한 생각에 빠져 버리는 일도 종종 있는 것입니다.

바울도 "우리가 아시아에서 당한 환난을 너희가 알지 못하기를 원치 아니하노니 힘에 지나도록 심한 고생을 받아 살 소망까지 끊어지고"(고린도후서 1:8)라고 고백했습니다. 바울도 우리와 같은 사람인 것입니다. 그와 같은 사람인 우리가 왜 "낙심하지 아니하며"라고 하는 지, 그 이유가 적혀 있는 것은 이 4장입니다.

 

1. "낙심하지 아니하며"의 이유

 

[고린도후서 4:1] "이러하므로 우리가 이 직분을 받아 긍휼하심을 입은 대로 낙심하지 아니하고"

= "용기를 잃지 않는다" (= "우리는 낙심하지 않는다" "실망 낙심하지 않는다" "피곤하고 싫어지지 않는다" )는 표현은 신약성경에 6번 쓰였는데, 누가복음 18:1을 제외하고 모두 바울의 특애용어입니다. 바울은 하나님의 긍휼 외에 꼽히는 "용기를 잃지 않는다"는 이유를 밝혀가는 것입니다.

 

(1) 그 이유를 아래와 같이 정리하여 봅니다.

첫째 이유는 "우리는 이 보물을 질그릇에 가졌기" 때문입니다.

둘째 이유는 "겉 사람은 후패하나 우리의 속은 날로 새롭기" 때문입니다.

셋째 이유는 "잠시 받는 환난의 경한 것이 지극히 크고 영원한 영광의 중한 것을 우리에게 이루게 함이기" 때문입니다.

넷째 이유는 보이는 것이 아니요 보이지 않는 것이니 보이는 것은 잠간이요 보이지 않는 것은 영원함이기" 때문입니다.


+ 둘째~넷째 이유는 첫째 이유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구성입니다.

, '보물''속사람을 날로 새롭게 하고', '지극히 크고 영원한 영광을 이루게 하고', '보이지 않는 것에 눈을 돌리게 하기' 때문입니다.

 

(2) 우리는 이 보물을 그릇 안에 담고 있습니다.

+ 우리는 바울이 말하는 것처럼 '질그릇'이라는 것입니다. 이 경우, '질그릇'은 복수로 '흙으로 만든 수 많은 그릇'입니다. 그 그릇(복수) 안에 '보배'를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보배'('세이사우로스' θησαυρός)은 단수입니다. 이것은 '그리스도의 향기', '그리스도의 편지'와 마찬가지로 '그리스도의 복음', 혹은 '메시아의 복음', '하나님 나라의 복음'이라고도 말할 수 있지만, '보배'의 의미를 살펴봅시다.

 

[고린도후서 4:6-7]

= "예수 그리스도의 얼굴에 있는 하나님의 영광을 아는 빛(知識/新改訳)"이라는 표현 중에, 예수님의 안에서 하나님을 보는 위대한 사상이 표현되고 있습니다. 예수님이 "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보았거늘"(요한복음 14:9)이라고 말씀하신 것 같이, 이곳에서 바울은 예수님을 언제나 바라보면 그때에 하나님의 영광이 우리에게도 이해할 수 있도록 해 주신 것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얼굴에 있는 하나님의 영광을 아는 지식이야말로 질그릇의 보배이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 질그릇 속의 '보배'가 지닌 힘은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짐작할 수 없는, 비상한, 절대적인' 힘입니다. 그로인하여 8절의 "우리가 사방으로 우겨쌈을 당하여도 싸이지 아니하며 답답한 일을 당하여도 낙심하지 아니하며", 더 나아가 9절의 "핍박을 받아도 버린바 되지 아니하며 거꾸러뜨림을 당하여도 망하지 아니하고"라고 말씀한 것입니다.

즉 후자의 일 - 어떤 일이 있어도, '궁핍할 것이 없다', '막힐 것이 없다', '버려지는 것이 없다' , '망하지 않는다'가 강조되고 있습니다.

 

2. 바울의 "우리가 낙심하지 아니하며"라고 말씀한 선언의 근거

 

[고린도후서 4:15-16] "15. 모든 것을 너희를 위하여 하는 것은 은혜가 많은 사람의 감사함으로 말미암아 더하여 넘쳐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함이라. 16. 그러므로 우리가 낙심하지 아니하노니 겉 사람은 후패하나 우리의 속은 날로 새롭도다."

= 바울은 고린도 교회 사람들과 같은 믿음의 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격려할 수 있는 것에 감사합니다. 그 같은 믿음이란, 주 예수님을 부활하게 하신 분이 우리를 예수님과 함께 부활시키고, 여러분과 함께 하나님 앞에 서게 하여 주신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믿음입니다.

 

* 이 믿음으로 인해 바울은 세 가지 점에서 '우리는 낙담하지 않는다'고 격려하고 있습니다.

 

(1) "겉 사람은 후패하나 우리의 속은 날로 새롭도다."라는 신앙

+ “겉 사람은 후패하나 우리의 속은 날로 새롭도다.”라는 이 사실은 놀라운 것입니다. 겉 사람은 어쩔 수 없이 쇠퇴하는(=망하다) 것입니다. 하지만 "속 사람"은 어떻습니까? 쇠퇴, 멸망하지 않고, 무려 '날마다 새롭게 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속 사람"이라는 것은 내향적인 사람이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그 사람은 '보배' 그 자체인 '그리스도'를 말하는 것입니다.

 

(2) "잠시 받는 환난의 경한 것이 크고 영원한 영광의 중한 것을 이루게 함이니"라는 신앙

+ ``속 사람''에 역사하는 영으로도 우리는 강하게 될 것이지만, 동시에 고난을 통해서도 우리의 믿음을 성장하게 하고, 우리에게 ``지극히 크고 영원한 영광''이 주어집니다.

바울도 로마서에서 "생각건대 현재의 고난은 장차 우리에게 나타날 영광과 족히 비교할 수 없도다“(로마서 8:18)라고 말씀합니다. "현재의 고난, 나타날 영광" - 이 종말적 신앙에 의해서 우리는 낙심하지 아니하는 것입니다.

 

(3) "돌아보는 것은 보이는 것이 아니요 보이지 않는 것이니"라는 신앙

+ 우리가 낙담하지 않기 위한 믿음은 '보이지 않는 것은 영원히 계속되어진다.'는 것, 거기에 눈을 돌린다는 믿음입니다. '속 사람'은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창조된 인간(고린도후서 5:17)이며, 지금 이미 부활한 그리스도의 새로운 생명에 부합하여 영광에서 영광으로 나아가고 있는 인간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결언.

 

[고린도후서 4:17-18] "17. 우리의 잠시 받는 환난의 경한 것이 지극히 크고 영원한 영광의 중한 것을 우리에게 이루게 함이니, 18. 우리의 돌아보는 것은 보이는 것이 아니요 보이지 않는 것이니, 보이는 것은 잠간이요 보이지 않는 것은 영원함이니라.“


................................................


勇気うことない

- Ⅱコリント4:6-8 -

 シャローム宣教会


[コリント4:6-8] 6. やみのから。」われたたちのらしキリストの御顔にある栄光知識かせてくださったのです7. たちはこのれているのですそれはこのれないのものであってたちからたものでないことがらかにされるためです8. たちは四方八方からしめられますがすることはありません途方にくれていますがきづまること(勇気うこと)はありません。」

 

序言.

 

たちのりには勇気すべてをしてしまいたいとわせる現実いことでしょうみがしくみじめないにってしまうこともしばしばです

パウロさえもたちは非常しいえられないほどの圧迫きるみさえうほどでした。」(コリント1:8)べていますパウロもたちと人間なのですその人間がなにゆえにたちは落胆しないのかその理由かれているのがこの4なのです

 

1. 勇気うことない」 理由

 

[コリント4:1]こういうわけでたちはあわれみをけてこのめにじられているのですから勇気うことなく

勇気わない(=たちは落胆しません」「失望落胆しない」「れてにならない)という表現新約聖書6回使われていますがルカの福音書18:1いてすべてパウロの特愛用語ですパウロはのあわれみのげられる勇気わないという理由べていくのです

 

(1) その理由以下のようにしてまとめてみます

第一理由たちはこのれているから

第二理由なるえてもなるたにされているから

第三理由一時苦難それとはべものにならないほど永遠栄光もたらすから

第四理由えるものにではなくえないものにめますえるものは一時的でありえないものは永遠から

 

第二第四理由第一理由から自然こされて構成になっています

つまり、「なるたにさせ」、「永遠栄光をもたらし」、「えないものにめさせるのです

 

(2) たちはこのれている

たちはパウロのうようにだということですこの場合、「複数った々のですその(複数)っているということです。「(セーサウロス」θησαυρός)単数ですこれはキリストの」「キリストの手紙同様キリストの福音」、あるいはメシアの福音」「御国福音ともえることかできますが、「意味えてましょう

 

[コリント4:6-7]

キリストの御顔にある栄光知識という表現イエスのうちにるという偉大思想られていますイエスがわたしをたのです(ヨハネ14:9)われたようにここでパウロはイエスをいつも見続けるならばそこに栄光たちにも理解できるようにしてくださったのだとっているのです。「キリストの御顔にある栄光知識こそっているのです

 

にあるからくるれない並外れな絶大卓越したものなのですそれゆえ8たちは四方八方からしめられますがすることはありません途方れますがまることはありません。」、さらに9迫害されますが見捨てられることはありませんされますがびません。」となるのですつまり後者のことーどんなことがあっても、「することがない」「まることがない」「見捨てられることがない」「びない」―強調されているのです

 

2. パウロのたちは落胆しませんという宣言根拠

 

[コリント4:15-16]15. すべてのことはあなたがたのためでありそれはみがますますくの々にんで感謝ちあふれ栄光われるようになるためです16. ですからたちは勇気いませんたといたちのなるえてもなるたにされています。」

パウロはコリントの教会たちと信仰をもっているのでましうことができることを感謝していますその信仰とはイエスをよみがえらせたたちをもイエスとともによみがえらせあなたがたと一緒御前たせてくださることをっているという信仰です

 

この信仰によってパウロはつのたちは落胆しないましています

 

(1) なるえてもなるたにされているという信仰

なるえてもなるたにされているというこの事実はすばらしいものですなる否応なくえる(=びる)のですしかしなるはどうでしょうかびることなくなんとたにされているのですこのなるというのは内向的という意味ではありませんそのとはそのものであるキリスト』」のことです

 

(2) 一時苦難それとはべものにならないほど永遠栄光をもたらすという信仰

なる御霊によってもたちはめられますが同時苦難してもたちの信仰成長させられたちに永遠栄光がもたらされるのです

パウロもローマ苦難やがてたちに啓示される栄光べればるにりないとえます。」(ローマ8:18)っています。「苦難栄光」―この終末的信仰によってたちは落胆しないのです

 

(3) えるものにではなくえないものにめるという信仰

たちが落胆しないための信仰、「えないものは永遠ということそこにめるという信仰ですなる人間キリストのにあってたに創造された人間(コリント5:17)でありすでに復活したキリストのしい生命にあずかって栄光から栄光へとんでいる人間意味するとしています

 

結言.

 

[コリント4:17-18]17. 患難たちのうちにいてれない永遠栄光をもたらすからです18. たちはえるものにではなくえないものにこそめますえるものは一時的でありえないものはいつまでもくからで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