쿰란 문헌에 나타난 메시야 연구

 

쿰란 공동체

 

쿰란 동궁에서 살았던 공동체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었다. 학자들은 다양한 제안을 하였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쿰란 공동체가 에센파 또는 그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던 집단이라고 생각한다. 또 이 집단을 사두개파, 바리새라 또는 열심당원으로 구성되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었다. 아주 최근에는 공동체가 B. C. 165년 직후 바벨론에서 돌아온 보수적인 유대인의 집단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우리는 이렇게 다양한 제안들을 보면서 이 공통체의 정체성을 밝히는 것은 쉬운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이 공동체가 에센파와 많은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공동체의 기원과 역사.

쿰란 공동체의 기원에 대하여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다만 우리는 고고학적 자료에 근거하여 이 공동체가 기원전 150경에 시작되었다고 추정을 한다. 그 이유는 공동체 안에서 발견된 동전이 요한네스 힐카누스시대의 것으로 추정을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시작된 공동체는 기원 후 즉 예루살렘의 멸망 전에 이 공동체도 당시 베스파시안 군대에 의하여 완전히 진멸됨으로 인하여 사라졌다고 볼 수 있다. 이 공동체가 이 기간동안 계속된 것이 아니라 중간인 기원전 31년경에 지진으로 인하여 공동체의 삶의 터전이 봉괴됨으로 인하여 공동체가 이곳을 떠났다가 기원후 헤롯대제가 죽은 후에 아켈라오 시대에 다시 돌아 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쿰란 문헌

 

개론

본 내용은 M. O. Wise, "Dead Sea Scroll," in Dictionary of Jesus and the Gospels. eds. Joel B. Green, Scot Mcnight, I. Howard Marshall, 137-146 (Downers Grove: InterVarisity Press, 1992)에서 요약 편집하였다.

1947년 베드윈 족의 목동 소년이 우연히 해변에 있는 굴에 자신의 양을 구하기 위하여 들어갔다가 고 문서를 발견하게 된다. 이 발견이 알려지자 베드윈 족속과 학자들 사이에서 고문서를 발견하기 위한 경쟁이 벌어지게 되었고 이 경쟁에서 학자들은 11개의 동굴로부터 많은 문서를 발견하게 되었는데 이것을 Dead Sea Scrolls (DSS)로 알려진 문헌들이다. 800개의 manuscripts와 많은 조각들이 발견되었다. 이 발견물들이 빠른 속도로 번역이 되어져서 많은 부분들이 출판되었다가 최근에 완역이 되어졌다

................................

.................................

 

쿰란_문헌속에_나타난_메시야관ㅁ.pdf

- 이하의 내용은 pdf파일을 열어서 보세요.

 

출처: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