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빈의 해석학

 

-<기독교 강요>가 제시한 성경해석 논리 -

         

2부 칼빈의 해석학

    

1. 칼빈의<기독교 강요>가 제시한 성경해석 논리

2. 칼빈이 말하는 성경의 자연스러운 의미

3. 칼빈의 성경 해석 논리

4. 칼빈의 비유해석 논리

5. 칼빈의 십계명 해석 논리

    

------------------------------

    

1. 칼빈의 기독교 강요가 제시한 성경해석논리

    

칼빈이 저술한 기독교 강요는 진실로 그의 저술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요 불후의 명작이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볼 때 기독교 강요를 조직신학으로 보는 경우가 지배적임을 부인할 수 없다. 칼빈이 기독교 강요에서 기독교 핵심교리를 체계적으로 서술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기독교 강요는 오늘날의 조직신학 책과는 거리가 있다. 오늘날의 조직신학 책은 기독교 강요에서처럼 기도를 체계적으로 그렇게 많은 분량에 걸쳐서 다루지 않는다. 보수신학을 대표하는 한 사람인 루이스 벌코프도 자신의 조직신학 책에서 기도에 관한 체계적인 서술을 하지 않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보더라도 칼빈의 기독교 강요는 오늘날의 의미에서 조직신학 책이 아니다. 칼빈은 기독교 강요23년에 걸쳐서 수정하고 보완했지만 한번도 기독교 강요를 가르친 적은 없다. Calvin did not offer lecture on doctrine in his academy, So his Institutes did not arise directly out of his classroom. In stead, the exegetical work was primary, while his Institutes subordinate to his biblical interpretation(David, E. Steinmetz, Calvin in Context(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15. 칼빈 시대에 신학이란 성경 강해였다. 설교도 성경 강해였고, 주중에 가르쳤던 강의도 성경 강해였다. 진정 칼빈은 성경 신학자였으며 그의 신학의 중요한 목적은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가르치고 또한 말씀대로 살도록 가르치는 것이었다.

칼빈의 [기독교 강요]가 제시한 성경해석논리 칼빈은 위대한 신학자요 강해 설교자요 목회자이다. 그는 기독교 강요라는 불후의 명작을 저술하였으며, 23년이라는 장구한 세월동안 기독교 강요를 수정 보안했다. 그래서 그의 책에는 다른 저서에서 느낄 수 없는 영적인 무게, 도전, 기도, 열정, 경건이 짙게 배어 있다. 칼빈 자신도 기독교 강요는 다른 어떤 저술보다 훌륭하며 뛰어나다고 고백했다.("Amongst all my studies this book holds the highest and most outstanding position."), CO, 17, 578. 그렇다면, 무슨 목적으로 칼빈은 기독교 강요에 그렇게 많은 열정과 기도와 마음을 쏟았을까? 과연 기독교 강요는 어떤 책일까?

기독교 강요가 어떠한 책인가에 대해서는 보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서 다르게 평가하지만 대부분의 신학자들은 기독교 강요는 성경을 올바르게 읽기 위한 안내서로 본다. Randal C. Zachman기독교 강요는 미래 목사와 신학교수를 위한 변증법적, 수사학적, 신학적으로 쓰여진 교리와 경건을 위한 책(a work of dialectical, rhetorical, and comprehensive theology, written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the doctrine and strengthening the piety of the future pastors and teachers of the Church)으로 봤다. 그러나 과연 이러한 평가가 옳은지는 의문시된다. Jacques Pannier기독교 강요는 성경을 주석 한 책(L' Institution, en principe, ne veut etre qu' un commentaire de L' Ecriture Sanite)이라 했고, Edward A. Dowey는 신학생이 성경 공부를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안내서(guides for theological students in the study of Scriptures)라 했으며, Francois Wendel은 성경을 읽기 위한 입문서(an introduction to the reading of the Bible), John Hesselink는 성경 공부를 위한 교리적인 서론(a dogmatic introduction to the reading of Holy Scripture)으로 봤다. Jacqes Pannier in his introduction to the 1541 Institution, Vol. 1(Paris, 1936), P.XXIV. Calvin and Hermeneutics edited by Richard C. Gamble, Vol. 6(New York & London: Garland Publishing, INC. 1992), 122. Edward A. Dowey, JR. The Knowledge of God in Calvin's Theology(Michigan: Grand Rapids,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4), W. Walker, Calvin's Institutes "Its essential aim was to unfold the teaching of Scripture" Jean Calvin, Trans. E. N. Weiss(Geneva, 1909), 138. and note Francois Wendel, Calvin, Origins and Development of His Religious Thought, 367). Calvin's Institutes is "a properly dogmatic introduction to the reading of Holy Scripture""The Development and Purpose of Calvin's Institutes," The Reformed Theological Review, Vol. XXIV(October, 1965), 69그렇다. 기독교 강요는 성경을 올바르게 읽고 가르치기 위한 신학적인 안내서(theological grammar for right and profitable reading of Scripture)이다. 칼빈 자신도 1539 라틴어 판 기독교 강요서문에서 그렇게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강요가 제시한 성경해석 논리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그렇다면, 분명히 해야 할 중요한 질문은 다음과 같다. 칼빈은 기독교 강요에서 성경을 올바르게 읽고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는가? 제시했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다시 말하면, 기독교 강요가 제시한 성경해석 논리는 무엇인가? 따라서, 본 논문은 기독교 강요가 제시한 성경해석 논리를 명료화하는데 중점을 두며 동시에 질적인 면에서 현대해석과의 차이점을 부각시킬 것이다.

     ......................

................................

 

- 이하의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열어서 보세요.

 

칼빈의 해석학.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