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주의 성경관

- 계시란 무엇인가?

- 성경이란 무엇인가?

- 영감이란 무엇인가?

- 조명이란 무엇인가?

- 해석이란 무엇인가?

 

서 론

 

우 리는 앞으로 몇주간에 걸쳐서 개혁주의 성경관에 대하여 배울 것이다. 우리가 성경에 대하여 반드시 배워야 하는 이유는 성경은 기독교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기독교의 모든 신앙 혹은 신학과 교리적 체계는 성경을 근거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신자의 신앙 인격과 신앙 형태는 성경을 어떻게 배웠고, 성경을 어떻게 알고 있는가에 따라 좌우된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경에 대한 이해, 성경관에 대한 바른 정립은 바른 기독교 신앙을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기독교는 기독교 안에서 조차도 성경에 대하여 다양한 이해를 갖고 있다. 앞으로 우리는 그러한 다양한 성경관들에 대하여 살펴보겠지만, 전통 장로교의 신앙과 신학에 입각한 우리의 성경관은 개혁주의 성경관이라고 말 할 수 있다.

 

개혁주의라는 말의 또 다른 표현으로는 칼빈주의라고 명명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용어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째, 개혁주의 혹은 칼빈주의는 넓은 의미로 중세 로마교회의 비성경적 교회 운동에 반대하여 일어난 16세기 종교 개혁의 교회를 특징짓는 이름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로마 교회에 대항하여 일어난 모든 프로테스탄트, 곧 개신교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protestant = 이의를 제기하는)

 

둘 째, 개혁주의 혹은 칼빈주의는 개혁으로 말미암아 일어난 프로테스탄트 안에서도 루터파 교회나 재침례파 교회에 대하여 구별된 명칭으로 사용된 것이다. 다시 말하면, 루터를 중심으로 한 개혁파를 루터주의라고 부르며, 칼빈을 중심으로 한 개혁파를 개혁주의, 또는 칼빈주의라고 부른다.

 

셋 째, 개혁주의는 오늘날 칼빈의 5대 교리를 천명하는 신학과 교회들에게 동일시되는 이름이다. 그 이유는 17, 18세기의 계몽주의와 이성주의라는 시대적 흐름을 거쳐오면서 개혁주의 안에는 인본주의 신학과 신앙이 스며들게 됨으로써 개혁주의 분명한 정체성이 흐려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 중의 하나가 알미니안 주의의 출현이었다. 알미니안 주의는 칼빈의 제자 중 한 사람인 알미니우스가 칼빈의 신본주의의 신학과 신앙에 반대하여 인본주의의 신학과 신앙을 주장한 사상적 조류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당시 종교회의(도르트 종교회의, 1618)는 알미니안 주의의 신학사상을 이단으로 정죄하고 신본주의 신학사상을 재 천명한 것이 이른바 칼빈의 5대 교리’(첫글자를 따서 TULIP이라고 부름)라고 부르고 있는 것이다.

 

(*칼빈의 5대 교리에 대해서는 다음에 언급하도록 하겠다.)

 

이 러한 칼빈의 5대 교리 사상은 이후 복음주의와 자유주의, 그리고 신정통주의라는 현대의 인본주의의 사상적 물결 속에서 신본주의 신학 사상을 표방하는 개혁주의 신학의 대명사가 되었던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사상적 변화의 배경의 근저에는 성경에 대한 이해의 차이가 있음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 성경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서 복음주의 신학이 될 수도 있고, 자유주의 신학도 될 수 있고, 개혁주의 신학도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성경에 대한 이해 즉, 성경관에 대한 바른 정립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할 것이다.

......................................................................................................................................

 

- 이하의 내용은 다운로드(pdff 파일)하여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