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에서 각주 약어 사용

 Ibid. (Ibidem = in the same place)

각주 번호 바로 하나 앞의 번호의 문헌을 다시 인용할 때 Ibid. 를 사용한다. 외국어 자료면 Ibid. 를 사용하며, 한국어 자료면 “상게서” 혹은 “같은 책”이라고 쓴다.

  • 외국어 자료 예제
1) Poirier, J. P., Lavoisier, chemist, biologist, economist, trans. by Balinski, R.,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6, pp.4~5.
2) Ibid., p.6.
3) Ibid., p.7.
  • 한국어 자료 예제
1) 권영성, 《헌법학원론》, 1998년, 90면
2) 상게서, 91면
3) 상게서, 92면

 Op. cit. (Opere Citato = in the work cited)

각주 번호 바로 하나 앞의 번호의 문헌을 다시 인용할 때 Op. cit. 를 사용한다. 외국어 자료일 때 Op. cit. 를 사용하며, 한국어 자료일 때 “전게서” 혹은 “앞의 책”이라고 쓴다.

  • 외국어 자료 예제
1) Schofield, R. E., The enlightenment of Joseph Priestley: a study of his life and work from 1733 to 1773, University Park: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97, p.7.
2) Ross, S., "Priestley, Joseph", The New Encyclopaedia britannica, 15th edition, Vol. 9, Chicago: Encyclopaedia britannica, 2007, pp.696~698.
3) Schofield, R. E., op. cit., pp.79~86.
  • 한국어 자료 예제
1)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06년, 20면
2) 구병삭, 《신헌법원론》, 박영사, 1990년. 30면
3) 정종섭, 전게서, 22면

............................................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신성섭 제공(20090403)

 

-----------------------------------------------------------------------------------------------

 

관리자 참고 첨언

 

Ibid : 영어사전등을 통해 이 단어는  ibidem이란 라틴어의 약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바로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책[글]에서. 란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것은 각주에서 바로 앞에 언급된 책을 표시할때 사용합니다.


Op. cit. : 라틴어 opus citatum, opere citato(인용된 작품, 인용된 작품으로부터)의 약자입니다.
              이것은 앞 부분에서 이미 어떤 책을 인용되었을때 뒤에서는 '저자명, Op. cit, p. 111'식으로 표시합니다.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OHS3&articleno=7655&categoryId=60&regdt=20141024123355&totalcnt=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