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계획서 쓰는법



1, 계획서는 총 3-5페이지에 달하여야 합니다.

2, 첫장은 커버지로 논문제출자의 청구학위를 위시한 기타 내용이 들어갑니다.

예를 들면 학과, 지도교수, 논문제목과 부제목, 한국방송대학교명 등이 자리합니다.

3, 둘째장은

가, 서론

나, 쓰고자 하는 논문의 핵심주제어와 목차 그 주제에 대한 연구방법

다, 연구 주제와 연구문제

라, 연구목적과 의의 등입니다.

(이때 연구목적과 의의, 가치, 연구동기, 연구주제 등의 서술은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지만 여기적힌 가나다라 사항은 모두 포함되어야 합니다. )



4, 본론

둘째장과 셋째장부터는 본론입니다. 그러나 본론이라고 쓰면 안됩니다.

서론과 결론은 그렇게 쓸수 있으나 본론은 진짜 주제와 연관한 본론을 기술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면

한류의 생성과 역사

한류의 의미

한류의 파생상품

한류와 국가브랜드와의 상관관계

등을 순서를 잘 정리하여서 쓰고자 하는 논지와 연역이나 귀납적으로 끌고 갑니다.



보통 목차에서 다 정해집니다.

이 본론이 준비되지 않으면 목차가 나올수 없으므로 아주 심도 있는 연구가 선행이 되어야

논문계획서가 완성이 되는 것입니다.

그저 아무것이나 되는대로 통보하는 식으로 계획서를 제출하게 되면 결국 문제가 꼬이게 되어 연구주제가 바뀌거나 연구문제의 도출에 싶패하게 되니 꼭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5, 마지막으로 결론을 씁니다.

그러나 보통 연구계획서에는 연구가 덜 마쳐진 상태이므로 크게 결론이 날 것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예상되는 결론이나 가치, 논문의 한계등을 쓰며 연구를 거쳐 얻게 될 소결론을 도출한다고 보면됩니다.

말이 계획서이지 사실은 연구의 중간보고서나 다름 없다는점을 명심하셔야 합니다.



6, 결론의 뒷장은 보통 참고문헌을 씁니다.

비록 인터넷에서 자료를 찾앗다 하더라도 그 인터넷 주소를 꼼꼼히 모두 써야 합니다.

예)디지털문화의 이해(http://cafe.daum.net/digicul ; 한류의 이해)글번호 1004번 참고 등으로 씁니다.

단행본일 경우는 예)강익모, 대중문화와 예술세계, 한미사, 2006. 등으로 기록하되

논문의 본문에서는 각 페이지를 상세히 기술합니다. (예 p31, 혹은 여러페이지일 때 pp.54-61)

 

http://blog.daum.net/lbts5857/5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