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태복음 개관


1. 저자와 연대
 
1) 저자
 
본 서는 저자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저자가 누구인지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전설에 의하면 본 서의 저자는 예수의 열두 사도중의 한 사람인 마태라고 하였다. 마태라는 단어의 뜻은 '하나님의 선물'이며 직업은 세리였다. 예수께서 승천하신 후에 그가 어떤 일을 했는지 알 수 없다. 그럼에도 초대교회는 한결같이 본 서를 마태가 기록했다고 인정했으며, 이에 대한 어떠한 반론도 제기된 적은 없었다. 이유는 본 서에 대하여 외부적 혹은 내부적으로 마태가 저자라는 것이 증명되어 왔기 때문이다. 초대교회 당시에 이레나우스(Irenaeus), 클레멘스 알렉산드리아(Clement of Alexandria), 로마누스(Romanus), 유세비우스(Eusebius), 바나바(Barnabas), 등의 교부와 학자들은 본 서의 저자가 마태인 것을 시인할 뿐 아니라 저들의 저서 중에는 마태가 기록한 마태복음을 인용하였으며, 특별히 변증자 저스틴 마티어(Justin Martyr A.D.140년)의 사도 회상록은 마태복음의 인용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서에는 유대적인 특징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어 마태의 기록설을 뒷받침해 주고 있기도 하다(막2:15 ; 눅5:29).
 
2) 기록 연대
 
본 서를 기록한 연대만큼 알기 어려운 것도 별로 없을 것이다. 사실 이 문제는 공관복음서 문제와 밀접히 연결되어 있기에 정확한 연대를 안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리고 학자들마다 의견이 각각 다르다. 어떤 학자들은 본문 중에 오늘까지(마27:7 ; 마28:15)라고 한 것을 보면 장구한 시일이 경과한 후에 기록한 증거이므로 주후 70년 혹은 80년경, 즉 예루살렘 멸망 후에 기록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학자들은 본문 중에 거룩한 성(마4:5,6), 예루살렘(마5:35), 성전(마17:24) 등의 성구가 있는 것으로 보아 이는 예루살렘과 성전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을 때에 기록했다는 증거이므로 주후 70년 이전에 기록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또 한 스트롱(Strong)이나 켈(Kell)은 주후 50년경에 기록되었다고 하며, 파피아스 같은 교부는 저작 연대를 주후 45년으로 잡기도 한다. 그러나 본 서의 연대를 정함에 있어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마가복음과의 관계이다. 본 서가 마가복음을 기초로 하여 기록되었으며 마가복음이 베드로가 순교한 후에(A.D.65년경) 기록되었다고 하면, 본 서는 주후 65년 이후일 것이다. 둘째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예루살렘 멸망이다. 어떤 학자들은 본 서에 예루살렘 멸망에 관한 명확한 언급이 없으므로 주후 70년 이전에 기록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더욱이 예루살렘의 멸망은 사도행전에도 기록되지 않았다. 따라서 누가복음이 사도행전보다 더 일찍 기록되었으며 또 마태복음은 누가복음보다 분명히 일찍 기록된 것으로 보아 본 서는 대략 주후 50년에서 70년 이전에 기록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2. 기록 목적과 특징
 
1) 기록 목적
 
일반적으로 본 서의 목적은 유대인들을 온전히 예수그리스도에게 돌아오게 하려는 데 있다고 말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하면 아직 회개치 아니한 자들을 돌아오게 하고 이미 회개한 자들을 굳게 하려는 데에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예수께서 아브라함과 다윗의 계약의 약속대로 오신분이시며(마1:1), 구약의 모든 예언을 성취하러 오신 이스라엘의 왕이심을 서술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마태는 본 서 전체를 통하여 구약의 예언과 예수의 생애가 조화됨을 설명한다(마1:23 ; 마2:56). 이러한 직접적인 마태의 조화됨의 설명은 유대인들에게 그리스도는 그들의 선조와 약속한 메시야요, 구주이심을 표현함이다.
 
2) 특징
 
본 서에는 저자의 일반적인 목적과 일치하는 다양한 특성이 기록되어 있다. 첫째로 본 서는 왕과 왕국을 다루고 있는 유대적인 요소를 지닌 책이다. 둘째로 본 서의 체계적인 구성과 신학전인 특성이다. 우선 마태는 자료들을 배열함에 있어서 신중한 주의를 기울였다. 셋째로 본 서의 처음 1-4장은 연대기적 진술이며, 5-13장은 주제별적 진술, 14-28장은 마21:18,19을 제외하고 역시 연대기적 진술이다. 넷째는 '의로운, 의'란 용어가 다른 나머지 세 복음서를 합친 데서보다도 오히려 본 서에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다섯째는 본 서에는 헬라어tovte(토테 ; 그 때, 그리고)란 말이 90번이나 나온다. 여섯째는 교회란 말이 나타나고 있는 유일한 복음서이다(마16:18 ; 마18:17). 일곱째는 마태가 메시야에 관한 구약의 예언들이 어떻게 예수의 생애를 통해 성취되었는지에 대해 그의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를 입증하기 위해서 구약을 자주 인용한다. 여덟째는 저자가 옛 계약과 새 계약의 관점에서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구속 계획에서 차지하는 이중적인 지위를 조명해 준다. 아홉째는 본 서에 6개의 대강화가 있다는 점이다. 열번째는 본 서에는 15개의 비유와 20개의 기적이 있다는 점이다. 열한번째는 이방인에 대한 저자의 관심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마1:5 ; 마2:1-12 ; 마8:11,12), 열두번째는 유다의 후회 사실(마27:5-10)과 부활 사건에 대한 날조 사실(마27:62-66 ; 마28:11-15) 그리고 부활 후에 성도들의 부활 사건(마27:51,52) 등이 유일하게 언급되고 있다는 점이다.
 
3. 본 서의 중요성과 내용구성
 
1) 본 서의 중요성
 
본 서는 기독교의 신앙과 생활에서 언제나 최고의 평가를 받아 왔다. 왜냐하면 본 서가 다른 복음서들의 맨 앞에 나와 있을 뿐만 아니라 신약 성경의 첫 번째 책으로 구약과 신약의 교량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후 2세기 이후에 본 서는 복음서들 중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었으며 특히 본 서의 체계적이 구성과 예수님의 가르침 등은 '모든 세대의 그리스도인들에게 가장 숭고한 윤리적인 표준을 제시해 왔다. 뿐만 아니라 본서는 교회 안에서와 밖에서 모두 문학과 음악 그리고 미술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팔복이나 주기도문 그리고 수난 기사와 같은 본문 등에 대한 설명은 기독교 문학과 교회의 선포와 가르침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초대 그리스도인들은 예수의 말씀에서 행동의 길잡이와 유대주의의 낡은 규범과 예수의 규범 사이의 관계를 이해한 지침도 찾았다. 더욱 중요한 것은 본 서에는 현존하는 기록들 중에서 예수의 생애, 즉 그의 행적과 말씀이 가장 완전하게 기록되어 있다는 점이다.
 
2) 내용 구성
 
초대교회는 마태복음이 구약과 신약을 잇는 자연스러운 교량 역할을 하고 있기에 그 책을 신약성경 맨 처음에 위치시켰다. 그리고 본 서는 이스라엘의 메시야적 왕의 품성과 사역을 묘사하고 있다. 이 복음서의 구조는 "예수께서…마치시며"(마7:28 ; 마11:1 ; 마13:53 ; 마19:1 ; 마26:1)라는 구절에 그 중요한 부분이 잘 나타나 있다. 따라서 본 서의 내용은 다음의 7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왕의 출현(마1:1-4:11), 왕의 선포(4:12-7:29), 왕의 권세(마8:1-11:30), 왕의 천국 비유(마12:1-15:39), 왕의 원리(마16-19장), 왕의 예언(마20-25장), 왕의 고난과 부활(마26-28장)등이다.
 
1. 마태복음이 주는 의미
 
마태복음은 신약성경과 사복음서 중에서 제일 먼저 나오는 책으로서 예수님의 열두 제자 중의 한 명인 마태 혹은 레위에 의해 기록된 예수의 행적기이다. 특히 마태복음에는 천국이란 용어가 33회나 쓰였기 때문에 천국 복음 혹은 계4:7에 나오는 네 생물 중에서 사자가 마태복음의 성격과 일치되기에 사자복음이라고도 부른다. 마태는 예수가 유대인의 왕으로 오셨다는 것을 확신시키기 위해서 유대 청중을 향해 기록하였다. 마태는 구약성경을 반복적으로 인용하면서 그리스도가 실제로 이스라엘에게 예언된 메시야라는 사실을 증거한다. 예수의 족보, 세례, 메시지, 기적 등 모든 것을 피할 수 없는 동일한 결론, 즉 그리스도가 왕이시라는 결론을 지향하고 있다.
 
2. 마태복음에서의 예수
 
마태복음은 왕으로 오신 그리스도에 대한 교훈과 생애를 기록한 책이다. 예수의 사역에 있어서 전환점은 이스라엘 백성의 지도자를 행세한 바리새인들이 그리스도가 메시야임을 배격하면서 그의 권세가 사단에게서 비롯된 것이라고 주장하는 데서 나타난다. 이때부터 그리스도는 사역을 바꾸어서 비유를 가르치시며 자신의 죽음의 임박함을 반복하여 말씀하셨다. 따라서 예수는 선지자들의 정점이시며 (마12:39,40 ; 마13:13-15), 인자(마24:30)이시고, 여호와의 종이시며(마12:17,21), 다윗의 자손이시다. 따라서 우리는 마태복음을 통하여 왕의 사역 속에서 하나님의 구원 계획과 그 성취 과정을 철저하게 깨달을 수 있다.
 
3. 4복음서 중 마태복음에만 나타나는 비유
 
가라지에 관한 것(마13:25-30,36-40)
천국을 밭에 감추인 보화로 비유(마13:44).
천국을 값진 진주로 비유(마13:45,46)
천국을 그물로 비유(마13:47,48)
악한 종에 관한 비유(마18:23-35)
포도원 품꾼에 관한 비유(마20:1-16)
두 아들에 관한 비유(마21:28-32)
어떤 임금이 자신의 아들 혼인 잔치에 사람들을 초청하는 비유(마22:1-14)
미련한 처녀와 슬기로운 처녀에 관한 비유(마25:1-13)
종에게 맡긴 달란트에 관한 비유(마25:14-30).
 
4. 마태복음의 신학적 주제
 
마태는 예수가 유대인들이 기다리던 메시야임을 강조하였다. 원래 메시야가 '기름부음을 받은 자'이지만, 유대인들은 당시 로마의 식민지 통치의 압제로부터 자신들을 해방시키고 지상에 왕국을 세울 정치적인 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예수는 모세처럼 율법의 수여자라는 역할을 산상수훈(마5-7장)을 통해 잘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예수는 구약의 율법을 파괴하러 오신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완성하시기 위해 오셨다.
마태는 하나님 나라의 백성이라는 새로운 법, 즉 '하늘나라'에 관해 마태복음에서 30회 이상 언급하고있는 주된 주제이다. 하늘나라란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하에서 이루어지는 통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수그리스도의 오심으로 인해 예수그리스도 안에서 이미 하나님의 절대적 통치가 미치고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성도들은 이미 하나님이 통치하시는 하나님 나라에 들어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진정한 하나님 나라의 백성이 되는 것은 궁극적으로 예수그리스도가 재림할 실현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마태복음에 보이는 주요 주제는 '하나님의 나라 안에서의 성도의 생활'을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마태는 예수그리스도께서 지적하신 교회에 관한 교훈을 지적하고 있다. 즉 신앙 공동체 생활과 복음을 땅 끝까지 전파하라는 지상 명령인 것이다.
그러나 마태는 교회 자체만을 강조한 것이 아니라 교회의 머리요 주인이신 예수그리스도를 강조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마태복음의 주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예수는 구약에서 예언된 메시야이다.
② 예수의 교훈은 교회를 위한 새 율법이다.
③ 하늘나라는 이 땅뿐만 아니라 새 하늘까지 포함하는 것이다.
④ 교회는 구약을 계승하나 이방인까지 포함된 새로운 신앙 공동체이다.
 
5. 마태복음에만 언급된 기사와 구절들
 
예수께 세례 베풀기를 꺼리는 요한(마3:14,15), 예언을 성취하기 위해 가버나움에 가서 사신 예수(마4:13-16), 두 소경를 고치신 기사(마9:27-30), 선지자 엘라야로 비유된 세례 요한(마11:14), 풍랑과 베드로의 행동에 관한 기록(마14:28-31), 천기(天氣)의 구분과 시대 표적의 구분(마16:2,3), 바요나 시몬에 관한 기사(마16:17-19), 바리새인과 사두개인의 누룩에 관한 경로(마16:11,12), 제자들의 갈릴리 행과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만난 기사(마28:16-18,20) 등이다.

http://sinhak365.cafe24.com/main/bbs/board.php?bo_table=data8&wr_id=68&page=3&page=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