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빈의 신학과 사회복지 사상

                                                          배 경 식 교수(한일장신대학교)

    

칼 빈은 일반적으로 그의 주 저서인 기독교강요를 통해 종교개혁의 기초를 제공한 한 사람이며 장로교의 교리를 제정한 저술가와 신학자로만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의 삶의 여정을 살펴보면 철저한 인문주의자로서 신앙을 그의 삶 속에 실천한 목회자임을 알게 된다. 동시에 그는 파렐과 함께 제네바에서 추방을 당하면서까지 종교와 사회의 개혁을 단행할 때 교회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과 설교를 통해 성경적인 사회복지의 일들을 실현하였다고 보여 진다.

본 논고를 통해 필자는 그의 생애와 사상을 간략하게 살펴 본 후 기독교강요와 그의 신학, 정치사상과 두개의 정부 마지막으로 교회의 직임들과 봉사의 직을 논거하면서 한국교회와 연관시켜 몇 가지의 제안을 해 보려 한다.       

    

   I. 생애와 사상

칼빈은 1509년 프랑스의 노용(Noyon)에서 태어났다. 그의 원 이름은 쟝 깔뱅(Jean Calvin) 혹은 쟝 꼬뱅(Jean Cauvin)이라 불리었다. 노용시의 주교의 자녀들과 친하게 지냈으며 1521-23년 경 파리 유학을 같이 갔을 정도로 친분이 있었다.

라 마르슈대학에서 라틴문법과 교양과정을 이수한 후 파리의 몽떼귀(de Montaigu) 대학에서 신학예비과목을 오를레앙(orleans)대학에서 아버지의 권유에 의해 법학을 공부하였다. 그가 파리 대학교에서 보수적인 신학만을 공부했었다면 로마 카톨릭교회의 한 성직자로서 남아 있었을 것이나 오를레앙 대학에서 인문주의를 접함으로써 로마 카톨릭교회를 비판하고 종교개혁 운동을 전개할 계기가 마련되었다고 보여 진다.

1531년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 프랑소아 I세가 1530년에 설립한 프랑스 대학(Coll ge de France)에서 희랍어와 히브리어 공부를 시작하였다. 1532세네카 관용론 주석(Commentary on Senecas Treatise De Clementia)이라는 책을 출판하였다. 이 책은 당시 베스트셀러인 마키아벨리(Machiavelli)의 군주론(IL Principe)에 나타난 절대 군주의 사상을 공격한 복음주의적인 정치 윤리학의 저술이다. 이점에 있어서 그는 신학자이었을 뿐 아니라 교회의 정치가요 외교가 이었다. 이때를 전후로 하여 그에게는 점진적인 회심이 있었던 것 같다.

그는 이 책에서 성서적 가르침과 고전철학 전통을 동심원적 관계로 묘사함으로써 복음주의를 강조하면서도 인문주의를 부정하지 않는 이 둘을 종합하는 작업을 하였다. 칼빈 신학의 주제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창조와 구속임을 밝혔다.

첫 째, 하나님은 교회 안에서 구속활동을 하심과 동시에 교회 밖에서 창조활동을 하신다는 것이다. 둘째, 영원한 성자는 성육신하신 그리스도안에 계심과 동시에 육체 밖에서 우주를 통치하시는 분이시다. 셋째, 성령은 특별 은총을 통해 신자들을 성화 시키시며 동시에 일반은총을 통해 세상에 지혜를 주시는 분이시다. 이처럼 칼빈에게는 복음주의와 인문주의가 함께 존재하였다

1533년 파리대학교의 콥 총장의 취임연설을 인문주의자 에라스무스와 종교개혁자 루터의 말을 인용하여 개혁적인 내용을 담아 써준 것에 연루되어 파리를 피신해야 했으며 1534년에는 성직록을 반환하였다.

1534 년 마르쿠트(Antonie Marcourt)가 미사를 반대하는 조문들을 붙인 사건이 있은 후 프랑소아 I세가 개신교도들을 핍박하기 시작하자 칼빈은 서둘러 복음주의의 진리를 설명하기위해 프랑소아 I세에게 헌정하는 글을 첨부하여 1536년 바젤에서 라틴어로 출판한 책이  된 기독교강요(Institutio religionis christianae) 1판이다이 책의 본문은 조직이 단순하며 분량도 많지 않았다. 율법, 신앙, 기도, 참된 예전과 거짓 예전, 기독교의 자유 등이었다.

.....................................................

.......................................................

-이하의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열어서 보세요.

 

칼빈의 신학과 사회복지 사상.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