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한 세겔

- 마태복음 17:24-27 -

샬롬선교회 


[마태복음 17:24-27] "24. 가버나움에 이르니 반 세겔 받는 자들이 베드로에게 나아와 이르되 너의 선생은 반 세겔을 내지 아니하느냐. 25. 이르되 내신다 하고 집에 들어가니 예수께서 먼저 이르시되 시몬아 네 생각은 어떠하냐 세상 임금들이 누구에게 관세와 국세를 받느냐 자기 아들에게냐 타인에게냐 26. 베드로가 이르되 타인에게니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그렇다면 아들들은 세를 면하리라. 27. 그러나 우리가 그들이 실족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네가 바다에 가서 낚시를 던져 먼저 오르는 고기를 가져 입을 열면 돈 한 세겔을 얻을 것이니 가져다가 나와 너를 위하여 주라 하시니라."

 

본문강해

 

[본문 24] 예수님께서는 여러 지방의 전도여행을 마치고 본동네 가버나움에 돌아오셨습니다. 예수님 일행이 돌아 온 것을 본 성전세 징수원이 베드로를 붙잡고 말합니다. ‘너의 선생은 반 세겔을 내지 아니하느냐성전세는 이스라엘 남자들이 일 년에 한 번씩 성전유지와 보수를 위해 반 세겔씩 내는 세금입니다. [당시 은으로 된 반 세겔(2드라크마)은 노동자의 2일정도 품삯입니다. ] 베드로도 예수님도 이 세금을 아직 내지 않았던 것입니다. ‘너의 선생은 왜 세금을 내지 않냐는 말은 단순한 독촉이 아니라 좀 비꼬는 마음이 담겨 있는 듯도 합니다.

 

예루살렘에서 파견한 성전세 징수원은 예수님에 대해 나쁜 말을 들었을 것입니다. 종교지도자들 사이에서 예수님은 유대교 전통을 깨는 위험한 인물로 여겨졌습니다. 예수님이 성전세를 안 내시냐는 말엔 선생이란 사람이 하나님의 백성이 지켜야 할 기본도 안 지키냐는 조소가 섞여 있는 것입니다. 또 한편으론 그런 예수님을 선생으로 믿고 따라다니는 베드로도 한심하게 보는 것입니다. 예수님 따라 다니더니 수중에 돈 반 세겔이 없어서 당연히 내야 할 세금도 내지 못하느냐라는 것입니다.

 

[본문 25-26] 베드로가 아마도 무척 자존심이 상했을 것입니다. 예전처럼 고기잡이로 돈을 벌고 쓰던 때가 생각났을까요? 세금 독촉에 돈을 못 낸 베드로가 더 퉁명스럽게 말했을 것입니다. ‘누가 안낸다고 그랬나, 내신다

 

기분이 잔뜩 상해 안으로 들어온 베드로를 보고 예수님께서 먼저 말을 거셨습니다. '시몬아 네 생각은 어떠하냐 세상 임금들이 누구에게 관세와 국세를 받느냐 자기 아들에게냐 타인에게냐' - 요즘 조세 원칙은 소득이 있는 곳에 세금이 있다입니다. 대통령 아들이라고 세금 면제해주지 않습니다. - 예수님 당시 왕권주의사회에서는 왕자들에게 세금을 받지 않았습니다. 우리나라 조선시대만 해도 왕자들과 공신들은 세금을 면제 받았습니다.

 

베드로가 이 말씀에 정신이 버쩍 났을 것입니다. 예수님 말씀이 이런 의미입니다. ‘그렇지? 성전세는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니 하나님의 자녀들은 안 드려도 된다. 죄인들이 하나님께 해결해야 할 빚이 자녀들은 다 청산되었다

지금 잔뜩 속상해서 들어온 베드로에게 필요한 말이 무엇인지를 예수님은 아셨습니다. 뭘 그런 일로 믿음도 없이 풀이 죽었냐고 꾸짖지도 않으셨습니다. 짧은 몇절의 말씀이지만 이렇게 보면 예수님이 약한 우리 마음을 읽으시고 가장 현명한 처방을 내리시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고린도후서 4;17-18] "17. 우리가 잠시 받는 환난의 경한 것이 지극히 크고 영원한 영광의 중한 것을 우리에게 이루게 함이니, 18.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보이는 것이 아니요 보이지 않는 것이니 보이는 것은 잠깐이요 보이지 않는 것은 영원함이라"

성도가 세상을 이기는 것은 이 믿음입니다. 하나님이 우리의 모든 것을 알고 계시다는 것과 장차 지극히 크고 영원한 영광이 준비되어 있다는 것을 항상 잊지 않고 되새기며 이 믿음으로 늘 스스로를 권고하시길 축원합니다.

 

[본문 27] "네가 바다에 가서 낚시를 던져 먼저 오르는 고기를 가져 입을 열면 돈 한 세겔을 얻을 것이니 가져다가 나와 너를 위하여 주라 하시니라.“ - 예수님은 베드로에게 이렇게 해서 성전세를 구하라고 하셨습니다.

 

가버나움은 갈릴리바다 지척에 있습니다. 갈릴리바다는 어부 베드로의 일터였습니다.

본문에서 베드로가 잡았다던 동전을 입에 문 그 고기는 갈릴리 바다에서 제일 많이 잡히는 물고기(일명, 베드로고기)이었을 것입니다. 이 물고기는 아래턱이 위턱보다 크고, 바닥까지 내려가서 작은 물고기들을 쭉 훑어서 먹는다고 합니다. 이 베드로고기가 어떻게 해서 동전을 물게 되었는지 상상할 수 있습니다. 바닥에 가라앉은 동전을 같이 집어 삼켰는데 목에 걸렸다고 해야 합니까?

 

여기까지는 자연적으로도 있을 수 있는 부분입니다.

그런데 베드로가 낚시대를 던지는 순간 그 고기가 낚여야 하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어떻게 바닷속 일을 아시고 그 물고기가 베드로 낚시에 걸리게 하셨을까요?

다른 이적들과 마찬가지로 성령과 능력으로 예수님이 이 초자연적인 기적을 일으키신 것입니다. 이 기적이 예수님이 행한 기적 중에 특별히 대단한 기적은 아닙니다. 그러나 우리에겐 큰 위로와 믿음을 주는 기적입니다.

 

예수님은 성전세 내게 가서 하루 일해서 돈을 마련하라고 하지 않으셨습니다. 예수님이 제자들 열두명을 데리고 삼년 반을 먹이고 생활을 책임지셨다는 것은 대부분이 가난하던 그 당시에 기적입니다. 그들이 호의호식한 것은 아니지만 예수님이 다 돌보셨습니다.

 

한번은 제자들에게 전도의 훈련을 시키시기 위해 여러 마을로 흩어서 보내셨습니다. 그들 손에 여행 경비를 줘서 보내지도 않으셨습니다. 나중에 예수님이 물으십니다. 너희에게 부족한 것이 있었느냐? 제자들이 모두 다 부족한 것이 없었다고 대답합니다. 예수님이 모든 것을 공급해 주신 것입니다.

 

고기 잡는 일은 이전에도 베드로가 하던 일이고 잘 하는 일입니다. 낚시를 던지는 일은 노련한 베드로가 했지만 무엇이 낚일지는 예수님께서 정해 놓으시고 꼭 필요한 것을 잡게 해 주십니다.

 

결언

 

주님은 우리에게 영원한 내세의 복을 주셨을 뿐 아니라 지금 현재도 우리를 돌보시고 인도하고 계십니다. 생활의 염려와 앞날의 두려움이 엄습할 때 물고기 입에 동전을 물려 놓으신 예수님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약한 자를 실족하지 않게 하신 주님을 본받고 우리의 언행에 사랑과 너그러움이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주께서 반드시 우리를 통해 구원할 자들을 구원하실 것입니다. 항상 믿음으로 기도하며 확신을 갖고 굳건한 걸음으로 주님의 인도를 따라 살아가는 복된 모두가 되시길 간구합니다.

 

[시편 91:14-15] "14. 하나님이 이르시되 그가 나를 사랑한즉 내가 그를 건지리라 그가 내 이름을 안즉 내가 그를 높이리라. 15. 그가 내게 간구하리니 내가 그에게 응답하리라 그들이 환난 당할 때에 내가 그와 함께 하여 그를 건지고 영화롭게 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