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긍휼

- 누가복음 1:67-75 -

 샬롬선교회 


[누가복음 1:67-75] 67. 그 부친 사가랴가 성령의 충만함을 받아 예언하여 이르되 68. 찬송하리로다 주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여 그 백성을 돌보사 속량하시며 69. 우리를 위하여 구원의 뿔을 그 종 다윗의 집에 일으키셨으니 70. 이것은 주께서 예로부터 거룩한 선지자의 입으로 말씀하신 바와 같이 71. 우리 원수에게서와 우리를 미워하는 모든 자의 손에서 구원하시는 일이라.

72. 우리 조상을 긍휼히 여기시며 그 거룩한 언약을 기억하셨으니 73. 곧 우리 조상 아브라함에게 하신 맹세라. 74. 우리가 원수의 손에서 건지심을 받고 75. 종신토록 주의 앞에서 성결과 의로 두려움이 없이 섬기게 하리라 하셨도다.

 

서언

 

[누가복음 1:49-50] "49. 능하신 이가 큰 일을 내게 행하셨으니 그 이름이 거룩하시며, 50. 긍휼하심이 두려워하는 자에게 대대로 이르는도다.“

[누가복음 1:77-78] "77. 주의 백성에게 그 죄 사함으로 말미암는 구원을 알게 하리니, 78. 이는 우리 하나님의 긍휼로 인함이라 이로써 돋는 해가 위로부터 우리에게 임하여"

= 마리아의 찬양에 2, 사가랴의 찬양에서 "긍휼"로 번역된 '에레오스'ελεος라는 명사를 3(신약성경에는 27) 사용하고 있습니다.

 

본문강해

 

세례 요한의 아버지 사가랴는 입이 열린 후에 성령이 충만하여 예언하였습니다.

 

[67-71]

+ 찬송은 하나님의 하신 일을 알고, 그의 은혜를 체험한 자만이 할 수 있는 일입니다.

 

찬송은 하나님께 대한 신앙고백이며, 기도이며, 하나님의 구원에 대한 간증입니다. 사가랴의 찬송의 내용은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을 돌아보셔서 구원의 뿔을 그의 종 다윗의 집에 일으키셨다는 것입니다. 이 말씀은 구약성경에 기록된 메시아 예언의 성취를 가리킵니다(예레미야 23:5-6; 에스겔 34:23-24; 호세아 3:5; 이사야 11:10 ). 뿔은 능력의 상징입니다. ‘구원의 뿔이란 능력의 구주라는 뜻입니다.

 

[72-75]

+ 구약과 신약은 하나님께서 은혜로 사람들에게 긍휼을 베푸시는 구원의 약속입니다.

 

하나님께서 베풀어주신 구원의 이유는 우리 자신에게 있지 않고 하나님의 긍휼뿐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언약과 맹세로 은혜를 자기 백성들에게 보이시며, 긍휼을 자기 백성들에게 베풀어 주셨습니다.

 

* '긍휼'('에레오스'ελεος)과 '은혜'('카리스'χαρις)의 차이.

 

신약성경에서 '은혜''긍휼'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영어에서는 '은혜'는 grace로 번역되고, '긍휼'은 일반적으로 mercy로 번역됩니다. 성경 중에는 그 의미를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는 부분은 없지만, 동사로 긍휼히 여겨 주소서라고 예수님께 탄원하고 있는 곳에서는 반드시 구체적인 하나님의 행위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누가복음 17:11 이후에, 10명의 문둥병자가 예수님께 "소리를 높여", "긍휼히 여겨 주소서"라고 탄원했을 때, 그 병이 치유되는 기적이 일어났습니다. 다음 장 18:35에 한 맹인이 예수님께 다윗의 자손 예수여 나를 불쌍히(긍휼히) 여기소서"라고 큰 소리로 외쳤을 때, 예수님께서 보아라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느니라"라고 하시니 그가 원하는 대로 되었습니다. 즉 예수님의 긍휼로 인하여 그 맹인의 눈이 고침을 받았습니다.

 

하나님의 눈에 보이는 구체적인 '긍휼'의 행위에 의해 나타난 하나님의 호의, 사랑을 '은혜'('카리스' χαρις)라고 하는 것입니다. '은혜'는 하나님의 긍휼의 출처, 혹은 근원이라고도 할 수 있는 하나님의 동기를 의미하는 말입니다. 인간은 구체적인 하나님의 긍휼을 경험함으로써 하나님의 은혜를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긍휼'의 궁극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나타난 십자가와 부활에 의한 구원의 사건입니다. 그 구원을 이루는 배경에는 하나님의 우리에 대한 일방적인, 보답을 요구하지 않는 호의(사랑)가 있는 것입니다. '은혜'는 사랑('아가페' αγαπη)과 거의 동의어입니다.

 

+ '하나님의 은혜'로 인하여 '하나님의 긍휼'로 주시는 '구원의 목적''하나님의 평안'을 얻어 평생토록 하나님 앞에서 거룩과 의로 두려움 없이 하나님을 섬기게 되는 것입니다.

 

* '은혜'와 '긍휼'과 '평안'의 관계 ; 바울의 인사에서 

 

사도 바울이 편지의 인사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 좇아 '은혜와 평강'이 있기를 원하노라."라는 형식(로마서, 고린도서, 갈라디아서,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데살로니가서, 디도서, 빌레몬서)입니다. 사도 베드로의 편지에서도 그 형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디모데에게의 편지에서 바울은 분명히 의식하면서 사랑하는 제자의 디모데에게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께로부터 '은혜와 긍휼과 평강'이 네게 있을찌어다.”라고 적었습니다. 그것은 디모데가 목회적인 의무에 대한 어떤 나약함을 느끼고 있었기 때문으로, 바울은 자신을 예로 들면서 자신도 본래는 그런 의무 같은 것이 주어질 리 없는 자, 더 이상의 죄인은 없다고 생각되어도 어쩔 수 없는 자였음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그런 자신을 용서해주셨을 뿐만 아니라, 복음의 의무를 기대해주셨음을 증거하고 있습니다. 주님의 긍휼로 인하여, 이제 자신이 이런 봉사를 하고 있음을 말하면서 디모데를 격려하고 있습니다. 바울은 자신의 몸에 실제로 행하신 하나님의 긍휼을 깊이 생각나게 하면서 사랑하는 제자를 격려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은혜와  긍휼과 평안이 있기를 원하노라라고 인사하고 있습니다.

 

+ '은혜'와 '긍휼'과 '평안'의 관계 :

'은혜'는 우리에 대한 일방적인 하나님의 호의, 동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긍휼'은 하나님의 '은혜'가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행동으로 드러난 사건입니다, 그리고 '평안'은 히브리적 색채가 강한 샬롬에서 오는 것이며, 하나님의 축복의 총칭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세 가지는 항상 순환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편에서는 '은혜'에서 출발하여 '긍휼'의 일을 하고 '평안'('평화'도 같은 원어)이라는 하나님의 모든 축복을 받을 수 있습니다만, 인간 측에서 말한다면, '긍휼''평안'을 경험하고 나서야 비로소 하나님의 '은혜'를 보다 깊게 알게 되는 순서가 됩니다. 혹은 '하나님의 은혜'를 믿음으로써 하나님께 대담하게 '하나님의 긍휼'을 구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하나님의 은혜와 축복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결언

 

+ 구원의 이유는 하나님의 은혜와 긍휼뿐입니다.

모든 사람은 자기 자신 속에는 구원받을 아무런 의(), 조건도 없습니다. 하나님의 은혜와 긍휼이 아니고서는 세상에 구원받을 자는 아무도 없습니다. 영원한 지옥 형벌을 받아야 마땅했던 죄인들이 구원받는 이유는 하나님의 은혜와 긍휼밖에 없습니다.

 

+ 구원의 목표는 빛과 평안입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돋는 해로 오셨습니다. 그 빛은 참된 지식과 의와 기쁨과 생명이며, 평강의 길로 인도하시는 빛입니다. 이제 구원받은 자들은 영원히 하나님 앞에서 거룩과 의로 두려움 없이 하나님을 섬길 것입니다.


 ..............................................


神のあわれみ

ルカ福音書1:67-75 -

シャローム宣教会 

[ルカ福音書1:67-75] 67. さてザカリヤは聖霊たされて預言してった68. ほめたたえよイスラエルのであるはそのみていをなし69. いのわれらのためにしもべダビデのてられた70. くからそのなる預言者たちのしてしてくださったとおりに71. このいはわれらのからのすべてわれらをからのいである

72. はわれらの父祖たちにあわれみをそのなる契約73. われらのアブラハムにわれたいをえて74. われらをから75. われらの生涯のすべてのきよくしくれなく御前えることをされる

 

序言

 

[ルカ福音書1:49-50]49. あるきなことをしてくださいましたその御名50. そのあわれみれかしこむ々にわたってびます。」

[ルカ福音書1:77-78]「77. しによるいの知識えるためである78. これはわれらのいあわれみによるそのあわれみによりがいとからわれらを、」

= マリヤの賛歌2とザカリヤの賛歌において、「あわれみされる'エレオス' ελεοςという名詞を3(新約聖書では27)使っています

 

本文講解

 

バプテスマヨハネのザカリヤかれた聖霊たされて預言しました

 

[67-71]

賛歌神様のされたことをみを体験しただけができることです

 

賛歌への信仰告白でありりでありいにするですサガリヤの賛歌内容がそのみていをなし、「いのわれらのためにしもべダビデのてられたということですこの御言葉旧約聖書記録されたメシアの預言成就しますエレミヤ23:5-6;エゼキエル34:23-24;ホセア3:5;イザヤ11:10など)。象徴です。「いのとはという意味です

 

[72-75]

旧約聖書新約聖書みによって々にれみをえてくれるいの約束です

 

えてくださったいの理由たち自身にはなくれみだけです契約いによってみを自分啓示れみを自分えられました

 

あわれみみ(カリス」χαρις)との

 

新約聖書では、「あわれみ密接関係っています英語ではは「grace」されあわれみ一般に「mercy」されますどのようにうのでしょうか聖書にはその意味をはっきりと説明している箇所はありませんが動詞あわれんでくださいとイエスに嘆願しているところでは具体的行為されていますたとえばルカ17:11以降10のツアラートがイエスにあわれんでくださげて嘆願したときそれがいやされる奇蹟きています次章18:35登場するある盲人がイエスにをあわれんでください大声てたイエスはわたしにをしてほしいのかねられ、「えるようになることですうとそのとおりになりますつまりのあわれみがなされたのです

 

える具体的なあわれみのわざによってわされた好意愛顧カリスχαριςわれるものです。「のあわれみの出所あるいは本源ともえる動機意味することばです人間具体的のあわれみを経験することでみをることができるのですのあわれみの究極はイエス・キリストをしてわされた十字架復活によるいの出来事ですそれをもたらした背景にはたちにする一方的見返りをめない好意(愛顧)があるのです。「、「アガペーαγαπηとほとんど同義です

 

+によってれみとしてくださるいの目的、「平安生涯にわたってをもってれずにえるようになることです

 

と憐れみ平安のかかわり。 パウロの挨拶から -

 

パウロが手紙挨拶として使っているのは、「たちのなるイエス・キリストからみと平安があなたがたのにありますようにというパターン(ローマコリントガラテヤエペソピリピコロサイテサロニケテトスピレモン)ですペテロもその手紙じくそのパターンを使っています

 

ところがテモテの手紙ではパウロは明確意識しながら愛弟子のテモテにしてみとあわれみと平安がありますようにしていますそれはテモテが牧会的めにしてあるさをじていたためでパウロは自分のことをしながら自分本来はそんなめなどえられるはずのないこれ以上罪人はいないとわれても仕方のないであったにもかかわらずはそんな自分してくださっただけでなく期待して福音めをゆだてくださったことをしていますのあわれみのゆえに自分がこのようなめをしていることをべてテモテをましているのですパウロは自分実際になされたのあわれみをこしながら愛弟子ましているのですそれゆえにみとあわれみと平安がありますように挨拶しているのです

 

+みとあわれみと平安との関係

たちにする一方的好意動機わすものです。「あわれみ具体的実際的行動としてあらわされた出来事ですそして平安はヘブル的色彩いシャロームからているもので祝福総称意味するものとえますこれらのつは循環しているものです

ではから出発して、「あわれみ行為をなし、「平安(平和原語)というのすべての祝福えられるのですが人間側からうならば、「あわれみ平安経験してはじめてをよりっていくというになりますあるいはじることによって大胆あわれみうことができますしその結果のあわれみと祝福経験することもできるのです

 

結言

 

いの理由みと憐れみだけです

すべての自分自身にはわれる条件もありませんみとれみによってではなくわれるはいません永遠地獄刑罰け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罪人たちがわれる理由みとれみしかありません

 

いの目標平安です

イエス・キリストはとしてましたその知識びとであり平安かれるですわれたたちは永遠御前ってえるでしょ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