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한국교회, 신학자에게 길을 묻다 ① - 김영한 교수]
newsdaybox_top.gif 2012년 01월 09일 newsdaybox_dn.gif

“삶의 변혁 비전 제시해야 교회 찾아”

신뢰성 회복이 최우선 과제 … 공적 권위 제대로 작동해야
‘선거의 해’ 맞아 공공성 강화 위한 ‘공공신학’ 논의 중요

2011년 한국 교회는 추락을 거듭했다. 연초부터 목회자 부정사건이 터져 나왔고 한국기독교총연합회 금권선거와 대형교회 문제 등 일 년 내내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았다. 한국 사회 역시 구제역 일본원전 등 환경 문제, 남북한 갈등고조, 사회양극화로 인한 불평등, 정치권 부정비리 등 큰 사건이 꼬리를 물었다. 혼란한 한국 사회와 교회 현실을 보며 신학자들은 그 어느 때보다 교회갱신을 외쳤고, 창조질서에 입각한 생명과 환경의 중요성을, 사회의 공공성 회복을 위해 교회의 역할을 모색하는 공공(공적)신학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올해 역시 신학자들의 이런 외침은 계속 될 것이다. 2012년 그 어느 때보다 한국 교회의 내적 갱신과 외적 신뢰성 회복이 절실히 필요한 때. 한국의 대표적인 신학자들과 각 학회 대표들에게 2012년 한국 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물었다. <편집자 주>

73558_17104_013.jpg

▲ 김영한 교수

김영한 교수는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하이델베르크대학교대학원에서 철학박사와 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장과 기독교학대학원 초대원장에 이어 2대 3대 원장을 역임했다. 한국개혁신학회장 한국복음주의신학회장 한국기독교철학회장을 지냈고, 현재 기독교학술원장과 샬롬을꿈꾸는나비행동 회장을 맡고 있다.

2012년 한국 교회가 나아갈 길을 제시할 첫 번째 인물은 김영한 교수이다. 김영한 교수는 한국 교회 개혁주의와 복음주의 진영의 대표적인 신학자로, 은퇴를 앞둔 나이에도 “오늘 이 자리에 있는 우리에게 하나님이 말씀하시는 것”을 찾아 실천하려고 애쓰고 있다.

“지금 사람들은 삶의 의미를 찾는데, 교회는 그들에게 무엇을 제시해주고 있는가? 삶의 변혁을 이룰 비전을 제시할 수 없다면, 교회는 존재의미가 없다. 사회적 문제와 의제들을 신학적으로 논의하고 메시지를 제시할 때, 교회는 의미를 갖는다.”

김영한 교수는 지난 해 한국 교회는 일반 사회조직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비리와 부정이 이어지며 너무나 부끄러운 모습이었다고 한탄했다. 그러나 더 중요한 문제는 교회가 사회 속에서 존재의 의미를 잃어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교회의 도덕성과 윤리성 추락은 사회적 신뢰를 잃어버리는 결과를 초래했고, 이는 교회의 공적 권위가 상실되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했다는 것이다. 공적 권위가 상실됐으니, 교회가 어떤 말을 해도 듣지 않는다.

김 교수는 또한 한국 교회가 스스로 영향력을 축소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과거 사람들은 의식주 문제가 무엇보다 중요했고, 교회는 그 부분을 해결해 줄 힘이 있었다. 그러나 지금 사람들은 생존이 아니라 ‘어떻게 사는 것이 의미 있는가?’를 고민하고 있다. 교회가 이 삶의 의미를 제시해 주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김 교수는 거듭 강조했다. “교회가 자기 안에 갇혀 있다. 빈부격차로 인한 갈등, 사회 소외계층 문제, 학교폭력과 왕따, 자살 등 너무나 중요한 문제들에 대해 신학적 교회적 방향을 제시하지 못한다. 교회는 사회학자 교육학자 심리학자들에게 이런 문제들을 넘겨줘선 안된다. 교회는 세상에서, 사회에서 빛과 소금이어야 한다.”

한 가지 다행스런 것은 한국 교회와 신학계에 공공(공적)신학이 중요하게 연구되고 있다는 점이다. 김 교수는 공공신학이 “교회의 성장이나 신자의 구원만을 위한 교회가 아니라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바른 윤리와 사회가 가야할 길을 제시하는 의미에서 합리성의 교회를 강조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특히 김영한 교수는 2012년 총선과 대선이 있는 ‘선거의 해’에, 한국 교회의 공공성 강화를 위해 더욱 공공신학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올해 한국 교회는 정교분리 이슈가 대두되고, 기독교정당 출현과 몇몇 정치편향 목회자들로 언론의 주목을 받을 것이 분명하다.

김영한 교수는 무엇보다 “기독교인 후보가 출마했다고 교회가 밀어줘야 한다는 것은 성숙하지 못한 것”이라며, “정치는 정의의 논리가 매우 중요하다. 청렴과 소통의 덕이 판단의 기준”이라고 지적했다.

기독교정당의 출현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먼저 기독교정당을 하겠다고 나선 인물이 문제가 있다며, “화란의 아브라함 카이퍼에게 볼 수 있는 정치적 영성이 우리에게는 없다. 그 영성은 사회문화적으로 오랜 시일 축적된 것이다. 기독교정당이 제대로 이루어지려면, 한국 교회의 정치적 영성이 더욱 자라나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치권에 장로 대통령을 비롯해 얼마나 많은 기독 국회의원이 있는가? 한국 교회는 이미 많은 정치인을 배출했다. 그들이 그 자리에서 기독교적 가치관을 실현하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2012년은 한국 교회 내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해이다. 바로 WCC 부산총회가 2013년 개최되기 때문이다. WCC 총회는 자칫 한국 교회에 새로운 분열의 씨앗이 될 수도 있다.

김영한 교수는 “WCC 총회를 한국에서 개최한 것 자체는 교회사적으로 경사이다. 행사 자체는 잘 될 수 있도록 한국 교회가 협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작년 한 해 김 교수가 몸담고 있는 개혁주의 및 복음주의 신학회들은 WCC의 신학검증을 철저히 진행했다. 2012년 김 교수는 WCC 부산총회를 통해 한국 교회가 갈등이 아닌 발전을 이룰 것인가를 고민하며,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는 듯하다. “중요한 것은 다원주의 종교혼합주의에 휩싸인 사람들이 총회를 주도하지 않도록 한국 교회가 복음주의 영성을 WCC에 반영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문저널 발간 등을 통해 한국의 신학을 알려야 한다.”

마지막으로 김영한 교수는 2012년 최우선 과제로 ‘교회의 신뢰성 회복’을 꼽았다. 그리고 간곡히 말했다.
“한국 교회의 문제는 지도자들이다. 목회자들이다. 지도자들이 각성하고 교권 명예 재물의 욕심을 버려야 한다. 청빈한 자세를 회복할 때, 한국 교회의 영향력은 회복될 것이다. 그리고 교회는 사회를 떠나서는 의미가 없다. 교회 안의 교회가 무슨 의미가 있는가. 사회의 어두운 곳으로 들어가야 비로소 교회는 빛이 될 수 있다.”

 

http://www.kidok.com/news/articleView.html?idxno=73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