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터란 ?

3D 프린터는 간단히 말해서 3차원의 입체물을 만들어내는 기술을 말합니다..

3D 프린터의 가장 큰 장점복잡한 설계 및 형상의 제품이라도 한 번제작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편리함 덕분에 3D프린터는 단순한 기계 부품 생산을 넘어서 의료,식품,패션에 이르기까지 활용 범위가 넓어졌습니다

3D 프린터는 원하는 제품의 설계도만 있으면  별도의 생산라인이 필요 없이 바로 생산 가능합니다. 3D 프린터의 가장 큰 장점복잡한 설계 및 형상의 제품이라도 한 번제작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3D 프린터는 특허권이 만료되었고 오픈소스화 되어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큰 돈을 들이지 않고도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3D프린터를 만들 수 있습니다.


<3D 프린터의 역사>


<3D 프린터 개발자 Chuck Hull>

 

* 1984 : 3D Systems Chuck Hull3D로된 물건을 프린트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 1986 : SLA이라 이름을 정하고 특허 획득함.

* 1988 : 미국 3D시스템즈 사가 SLA 방식 첫 상용화, Scott CrumpFDM방식의 프린터 개발함. LOM 방식 특허 획득

* 1989 :SLS방식 특허 획득 , Scott Crump스트라타시스(Stratasys)사를 세움.

* 1990 : FDM 방식 첫 상용화  

* 1992 : 스트라타시스 사는 최초로 FDM기반의 장비인 '3D모델러' 출시,  SLS 방식 개발, SLA 방식 Layer by Layer 방법으로 파트 완성

* 1993 : MIT에서 2D프린터에서 사용된 잉크젯기술과 유사한 잉크젯 기반의 3차원 프린팅 기술 특허를 획득함

* 1996 : 스타라타시스 "Genisys", 3D Systems "Actua2100", Z Corporation "Z402" 출시

* 2002 : 3 차원 KIDNEY 동작

* 2005 : 시장 최초의 고하질 컬러  3D 프린터Z Corporation "Z510" 출시, RepRap의 오픈 소스 기반 3D 프린터 소개

* 2006 :  GNU라이선스에 의해서 누구나 재배포가 가능하고, 누구나 수정 가능한 3D프린터인 렙랩 (RepRap) 제작관련 오프소스 프로젝트가 시작됨.

* 2007 :  SLS 방식 대량 제조화, Objet사에서 다양한 재료를 프린팅 가능한 제품 출시

* 2008 : RepRap에서 부품의 50% 정도를 프린터 자체적으로 제작가능한 프린터 렙랩이 최초 배포

* 2009 : MakerBot 3D 프린터 DIY Kit 시장에 출시됨

* 2010 : 세계 최초 3D 프린터로 제작한 자동차 Urbee가 발표됨.

* 2011 : Southampton 대학 기술자들이 세계 최초 3D 프린터로 제작한 시험용 비행체 비행 성공

* 2012 : 네덜란드에서 3차원 프린터로 인공턱 구현, FDM 방식 특허 만료.

* 2013 : 줄기세포 기반 3D 프린터 인공장기 소개, 권총 3D CAD 도면 인터넷 업로드

2014 : SLS 방식 특허 만료.

모튼 3D프린터 특허가 만료된것은 아니지만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FDM 방식의 특허가 만료가 되어서, 오픈소스 기반 3D프린터가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3dmac&logNo=220253858054&targetKeyword=&targetRecommendationCode=1